저자(한글) |
HUANG, Li-chun,JIN, Liang,LI, Jing,ZHANG, Xiao-qiang,YANG, Yang,WANG, Xiao-juan |
초록 |
접형화아과(Papilionoideae) 식물은 종이 풍부하고 번식 시스템이 다양하며 수분자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주로 꽃부위 적응과 수분 시스템의 형성에서 나타난다. 접형화는 형태가 복잡하고 완전화이다. 화악, 화판은 다섯 기수이고 화악은 화살촉 모양이며 인접한 화판은 나선 윤생(alternating whorls)이고 기판은 비교적 크고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였으며, 두개의 익판은 기판에 바싹 달라붙어 착생하였고 두개의 합생한 용골판을 에워쌌다. 용골판 내에는 자예와 웅예를 에워싸고 있고 자예는 정중앙에 위치하였으며 웅예는 윤생이고 이체웅예(united into two groups, 다수 9+1, 소수 5+5)를 형성하였다. 접형화아과 식물의 꽃부위 특징, 수분 기능그룹, 보상과 수분 시스템 구축을 검토하고 접형화 형태와 화학조성의 수분 시스템과의 진화관계 및 화분 방출 시스템을 중점적으로 토의하였다. 그중, 일반화된 수분 시스템은 꿀벌 매개 수분을 위주로 하고 동시에 새 매개 수분, 박쥐 수분 및 다람쥐 수분 등 방식이 존재한다. 꽃부위 구조와 매개자의 상호 선택과 상호 적응은 수분 시스템의 진화를 추진하였다. 화분 방출은 협형화 식물과 그 수분 기능그룹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중요한 일면이고 양자의 공동진화는 폭발 메커니즘(explosive mechanism), 피스톤 메커니즘(piston mechanism), 판막 메커니즘(valvular mechanism) 및 브러시 메커니즘(brush mechanism) 등 4가지 화분 방출 메커니즘을 형성하였다. 접형화의 꽃부위 특징과 수분 기능그룹의 상호작용은 상응한 수분 시스템을 형성하고 수분 시스템은 수분 기능을 수행하는 중요한 집합체이다. 각 구조의 상호 조화와 적응은 접형화아과 식물 수분 과정의 순조로운 완성을 확보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