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extracellular ATP and salicylic acid on photosynthetic index of tobacco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廣西植物 = Guihaia
ISSN 1000-314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FENG, Han-qing,JIAO, Qing-s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세포외 ATP(extracellular ATP)와 살리실산(salicylic acid)이 담배(Nicotiana tabacum) 잎사귀의 기공 전도도(Stomatal conductance)(GH 2 O), 증산속도(transpiration rate)(E), 광합성 속도(A)와 엽록소 형광 파라미터[PS II의 잠재적 최대 광화학 양자 효율(maximal photochemical efficiency of PSⅡ, Fv/Fm), PSⅡ의 빛 적응 실제 광화학적 효율(effective photochemical quantum yield of PSⅡ, Y(Ⅱ)), 전자전달 속도(Electron transfer rate, ETR), 비광화학적 형광 소멸(non-photochemical fluorescence quenching, NPQ)와 광화학적 형광 소멸(photochemical fluorescence quenching, qP)]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SA는 A, GH 2 O와 E를 줄였지만 eATP의 처리는 SA로 인한 A, GH 2 O와 E의 감소를 완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SA는 엽록소 형광 파라미터 Fv/Fm, Y(Ⅱ), NPQ, qP와 ETR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eATP를 첨가한 후에도 SA로 처리한 엽록소 형광 파라미터의 수준을 변화시키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SA는 광합성 작용을 억제할 수 있지만 eATP는 SA의 광합성 작용 엑제를 뚜렷하게 완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작용은 모두 광반응 단계와 관계가 없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해당 메커니즘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3803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extracellular ATP,salicylic acid,photosynthesis rate,chlorophyll fluorescence parameter,세포외 ATP,살리실산,광합성 속도,엽록소 형광 파라미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