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Eucalyptus urophylla×Eucalyptus grandis 우량 클론의 무균 묘목 줄기 구간을 외식체로, 여러 가지 서로 다른 농도의 생장 조절제를 최적화하여 체세포배 유도 연구를 진행하였다. 배아성 및 비배아성 캘러스에 대해 형태 해부학 관찰, 관련 생리적 지표 검출, 관련 유전자 형광 정량 PCR 분석을 진행하여, Eucalyptus urophylla×Eucalyptus grandis 배아성 캘러스에 비배아성이 발생하는 메커니즘을 제시함으로써 Eucalyptus urophylla×Eucalyptus grandis 체세포 배아 재생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참조적 자료를 제공하였다. 결과, (1) 배아성 캘러스는 MS+0.1 mg/L NAA+0.01 mg/L TDZ 배양기에서 유도되어 배양체를 얻었으며, 외식체를 0.5 mol/L 자당으로 12시간 처리하였을 때 배아성 캘러스가 배양체를 생성하는데 도움이 되었고, 배양체 최고 발생률은 16.7%이다. (2) 파라핀 절편법으로 Eucalyptus urophylla×Eucalyptus grandis의 배아성 및 비배아성 캘러스에 대해 관찰한 결과, 양자의 세포 형태 특성은 뚜렷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배아성 캘러스는 세포 체적이 작고 빽빽하게 배열되었으며 전형적인 배아성 세포 특성을 나타냈다. 비배아성 캘러스는 세포가 비교적 크고 듬성하게 배열되었으며 세포는 불규칙 형태를 나타냈다. (3) 생리생화학 지표 검출 결과, 비배아성 캘러스 중 단백질 함량, SOD, PPO, CAT 활성은 배아성 캐러스에 비해 뚜렷하게 낮았으며, 비배아성 캘러스 중 리그닌, 수용성당 함량 및 PAL과 POD 활성은 배아성 캘러스에 비해 높았다. 양자의 trans-cinnamate 4-monooxygenase 유전자, 아밀로포스포릴라아제(amylophosphorylase) 유전자, 글루타티온-S-전달효소(Glutathione-S-Transferase) 유전자, 글루코오스-1-인산 아데닐릴전달효소(adenylyltransferase) 유전자, 글루코오스-6-인산 아이소메라아제(isomerase) 유전자, chorismate 합성 효소 유전자 및 phenylalnine ammonialyase(PAL) 유전자 발현 차이도 뚜렷한 수준에 도달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