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IN WINTER IN THE JIAOZHOU BAY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與湖沼 = Oceanologia et limnologia Sinica
ISSN 0029-814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 Jun-lei,SUN, Xiao-xia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현재 중국의 연해 식물 플랑크톤의 광합성 작용 특징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적다. 특히, 해양 식물 플랑크톤의 겨울철 광합성 생리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주 적다. 본 실험은 식물 플랑크톤 형광측정기 Phyto-PAM을 이용하여 자오저우만(Jiaozhou Bay) 식물 플랑크톤의 최대 광화학 양자 생산량(maximum quantum yield of PSII), 쾌속광 곡선(rapid light curves), 광화학적 급랭(photochemical quenching) 및 비광화학적 급랭을 측정하고, 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식물 플랑크톤의 군락 구조 조성과 풍도를 획득하였다. 관련 환경인자를 결합하여 자오저우만 겨울철 식물 플랑크톤의 원위치 광합성 작용의 특징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조사 기간에 자오저우만의 식물 플랑크톤은 비교적 높은 광합성 활성과 잠재력을 가졌고, 최대 광화학 양자 생산량은 약 0.69를 유지했으며, 광에너지 이용 효율은 0.2~0.3이었고, 쾌속광 곡선은 아주 대표적이었다. 1,000 μmol/(s·m 2 ) 이상의 광도에서도 양호한 광합성 활성을 유지하였고, 광화학적 급랭값이 비교적 높았다. 광도가 1,500 μmol/(s·m 2 ) 이상일 때, 상대적 전자 전달 속도는 낮아지기 시작하고, 실제 광양자 생산량은 최저치에 이르며, 비광화학적 급랭값은 상승하였다. 이때, 해양 식물 플랑크톤은 광합성 기관이 흡수한 과량의 광에너지를 열에너지 형식으로 소산하여 자오저우만 식물 플랑크톤의 광합성 기관이 높은 광도의 조사를 받아 손상 받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보호하였다. 겨울철 대부분 기간에 자오저우만 식물 플랑크톤의 풍도는 극히 낮지만, 만 내 식물 플랑크톤은 비교적 강한 광합성 활성을 가지며 또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문, 생물 등 환경과 비교적 풍부한 영양염 및 상대적으로 유리한 영양염 구조는 겨울철 식물 플랑크톤의 최대값이 나타나는 핵심적인 생리적 생태 요소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0531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Jiaozhou Bay,phytoplankton,community structure,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nutrient,자오저우만,식물 플랑크톤,군락 구조,광합성 활성,영양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