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리포산이 HepG2 간세포에서 SREBP-1c 발현에 미치는 효과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대한내분비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docrinology |
ISSN | 1015-6380, |
ISBN |
저자(한글) | 윤태승,민애경,김남경,김미경,조호찬,김혜순,황재석,류성열,박근규,이인규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08-01-01 |
초록 | 연구배경: 비알콜성 지방간은 인슐린 저항성이 있는 환자에서 흔히 발생 하는 간질환이다. SREBP-1c는 지방산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를 활성화시켜서 간 내 지방 축적을 일으키는 중요한 전사조절인자이다. 본 연구는 알파-리포산이 간세포에서 인슐린에 의해 증가된 SREBP-1c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간세포로 human hepatoma cell line인 HepG2 세포를 사용하였다. 인슐린과 알파-리포산이 SREBP-1c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노던 블롯과 웨스턴 블롯으로 확인하였다. SREBP-1c 전사조절부위(promoter)활성 분석을 통해 알파-리포산이 SREBP-1c의 전사조절에 관여하는지 알아보았다. 알파-리포산이 AMPK 활성에 미치는 효과는 AMPK의 인산화로 평가하였으며 AMPK 억제제인 compound C를 이용하여 알파-리포산의 억제효과가 AMPK를 통해 이루어지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인슐린은 용량-의존적으로 HepG2 세포에서 SREBP-1c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켰다. 알파-리포산은 인슐린에 의해 증가된 SREBP-1c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알파-리포산은 인슐린에 의해 증가된 SREBP-1c 전사촉진자의 활성을 억제하였다. 알파-리포산은 HepG2 세포에서 AMPK의 인산화를 증가시켰다. AMPK 활성 억제제인 compound C는 알파-리포산에 의한 SREBP-1c 발현 억제효과를 의미 있게 회복시켰다. 결론: 알파-리포산은 HepG2 세포에서 인슐린에 의해 증가된 SREBP-1c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알파-리포산이 고인슐린혈증에 의한 지방간의 발생에 대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동물 및 임상실험이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48067298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alpha-lipoic acid,insulin resistance,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SREBP-1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