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계절에 따른 국내 자생 꼬리겨우살이, 겨우살이 및 기주목의 광합성 특성과 엽록소 함량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ISSN 0445-4650,2289-090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이수광,이성한,우수영,강호덕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연구는 희귀기생식물인 꼬리겨우살이(Loranthus tanakae)의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꼬리겨우살이와 겨우살이(Viscum album var. coloratum)를 대상으로 계절에 따라 자생지에서 어떠한 생리특성을 나타내고, 기주목과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광합성 속도, 증산 속도, 수분이용효율, 엽록소 형광반응 및 엽록소 함량을 조사함으로써 살펴보았다. 꼬리겨우살이의 최대 광합성 속도는 6월 중순 광량 $941{ mu}mol{ cdot}m^{-2}{ cdot}s^{-1}$ 일 때 $9.36{ mu}mol{ cdot}m^{-2}{ cdot}s^{-1}$ , 최대 증산 속도는 7월 하순 광량 $1,596{ mu}mol{ cdot}m^{-2}{ cdot}s^{-1}$ 일 때 $5.06{ mu}mol{ cdot}m^{-2}{ cdot}s^{-1}$ 로 나타났다. 겨우살이의 최대 광합성 속도는 9월 중순 광량 $418{ mu}mol{ cdot}m^{-2}{ cdot}s^{-1}$ 일 때 $6.51{ mu}mol{ cdot}m^{-2}{ cdot}s^{-1}$ , 최대 증산 속도는 9월 초 광량 $1,735{ mu}mol{ cdot}m^{-2}{ cdot}s^{-1}$ 일 때 $3.91{ mu}mol{ cdot}m^{-2}{ cdot}s^{-1}$ 로 나타났다. 겨우살이는 기주목과 꼬리겨우살이 모두 낙엽이 떨어진 11월에도 광합성이 가능하였다. 특이하게 꼬리겨우살이의 증산 속도가 기주목보다 항상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최대 엽록소 함량(엽록소 a+b)은 꼬리겨우살이가 7월 하순 $8.23mg{ cdot}g^{-1}$ , 겨우살이는 6월 중순 $10.27mg{ cdot}g^{-1}$ 로 나타났으며, 엽록소 a/b 비율은 계절에 따라 꼬리겨우살이 1.7~3.7, 겨우살이 1.1~4.5로 큰 차이를 보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51635171541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Loranthus tanakae,Viscum album var. coloratum,physiological response,photosynthesis,chlorophyll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