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soil dissolved inorganic carbon in an arid oasi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雜志 = Chinese journal of ecology
ISSN 1000-489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U, Li-juan,WANG, Yu-gang,LI, Xiao-yu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가뭄지역(arid area)의 물과 토양의 상호작용(water and soil action) 조건에서 가용성 무기탄소(dissolved inorganic carbon)의 동적 특성(dynamic characteristics)을 연구하기 위해 민친 오아시스(Minqin oasis)를 연구대상으로 지구통계학(geostatistics), RS와GIS를 서로 결합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유역 범위에서 0~10 cm 깊이 토양 중 가용성 무기탄소의 공간분포(spatial distribution) 특성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민친 오아시스의 0~10 cm 깊이 토양 중 가용성 무기탄소의 평균 함량은 0.056 gC/kg이고, 선형 모델(linear model)은 토양 중 무기탄소의 분포 특성과 제일 적합한 모델인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중 가용성 무기탄소 함량의 공간분포(spatial distribution)를 분석한 결과, 남쪽으로 부터 북쪽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추세이고, 남쪽 지역의 댐(dam) 지역에서 함량이 제일 높고, 중부 지역의 취안산(Quanshan) 지역에서 그 다음으로 높고, 북부 호수 지역에서 제일 낮았다. 그리고 같은 시기의 토지 이용 유형 지도(landscape map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모든 오아시스 토양 중 가용성 무기탄소 함량은 주로 0.05~0.06 gC/kg 범위에 분포되어 있고, 경작지(cropland)와 사막(sandy land) 중 가용성 무기탄소의 함량은 비교적 높았지만 임지(forest land), 초지(grassland)와 염분지(saline land) 중 가용성 무기탄소의 함량은 비교적 낮았다. 그리고 토양 중 가용성 무기탄소 함량과 HCO 3 - 은 매우 뚜렷한 정적 상관관계(positively correlated)이지만 기타 토양 염이온(salt ion)과는 뚜렷한 부적 상관관계(negatively correlated)이고, pH값과는 미약한 정적 상관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가뭄지역에서 물과 토양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표층 토양의 동적 탄소 전달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672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oil dissolved inorganic carbon,geostatistics,spatial distribution,arid area,토양 가용성 무기탄소,지구통계학,공간분포,가뭄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