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칭장고원(Tibetan Plateau)의 특수한 생태환경은 진귀한 식물종을 육성하였고 귀중한 유전자원을 남겼다. 이는 대자연이 인류 및 기타 생물에 선사한 보귀한 재산으로서 보호가 필요하지만 가속화되고 있는 인류활동, 자원개발, 전지구적 기후온난화는 이를 위협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칭장고원 특수 생태환경에서 자란 야생식물 자원을 빠른 시간에 조사, 수집, 보전하여야 하고 심층적인 연구를 통하여 지속 가능한 이용을 도모하여야 한다. 칭장고원 대부분 지역[희말라야 남쪽 산비탈 중/저 해발고도 열대/아열대 지역을 제외한 칭장고원 및 횡단산(Hengduan Mountains) 지역, 식물종 분포패턴에 근거하여 조사지역을 부분적으로 확장한 인근지역]에서 4년에 거쳐 진행된 식물자원 조사 프로젝트를 통하여 13,638개의 표본을 채집하였고 100,472 본의 야생식물유전자원(wild plant germplasm)을 확보하였다. 모두 137개 과 825개 속 4,123개 종에 이르는 식물자원을 수집하였는데 이 중에는 멸종위기 식물, 칭장고원에만 서식하는 식물, 중요한 경제적 가치가 있는 식물들이 많이 포함되었다. 프로젝트를 통하여 일정 정도 성과를 거두기는 했지만 초반에 진행된 사업을 분석하는 과정에 적지 않은 문제점들을 발견하였다. 칭장고원 지역 식물유전자원 수집 및 보전 사업은 임무량이 많고 갈 길이 멀며 부족한 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사업의 지속적인 심화는 참가자들의 식물분류학 기초지식 및 운용능력을 시험하고 있다. 종자생물학(Seed biology) 지식의 부족과 과학적 평가시스템의 불완전으로 유전자원의 효율적인 수집 및 보전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 향후 관련 연구를 더욱 심화시키고 시스템을 구비화 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