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REN, Ai-tian,NARKES, Waly,LU, Wei-hua,YANG, Jie-jing,MA, Chun-hui,LIU, Hong-ling |
초록 |
실뿌리는 식물 기능 발휘와 토양 탄소저장고 및 지구 탄소순환에 대해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용기법과 minirhizotron법을 이용하여 2013년 6~10월 전반 생장계절 내에 알팔파(alfalfa)의 실뿌리 바이오매스, 생산 및 회전 법칙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1) 알팔파의 살아 있는 실뿌리 현존 바이오매스 평균값은 glomus mosseae(Gm)를 접종하였을 때 가장 높았고(12.46 g·m -2 ), 접종하지 않았을 때 가장 낮았으며(7.31 g·m -2 ), 살아 있는 실뿌리 현존량은 9월 중순에 피크값에 도달하였다. 죽은 실뿌리 현존 바이오매스는 먼저 증가한 후 감소하고 다시 증가하는 변화 추세를 보였으며, 전반 생장과정에서 접종하지 않은 처리는 접종한 처리에 비해 높았다. Glomus intraradices(Gi)를 접종하였을 때 죽은 실뿌리의 현존 평균 바이오매스(3.11 g·m -2 )는 접종 그룹의 기타 처리에 비해 낮았다. (2) 알팔파 식물체 실뿌리 생장량은 Glomus etunicatum(Ge)를 접종하였을 때 가장 컸고(0.045 mm·cm -2 ·d -1 ), Gm을 접종한 처리그룹과 접종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가장 낮았다(평균 0.027 mm·cm -2 ·d -1 ). 균을 접종하지 않은 식물체 실뿌리 사망량(0.044 mm·cm -2 ·d -1 )은 접종한 식물체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으며, 접종 그룹에서 Gi 처리그룹이 가장 낮았다(0.021 mm·cm -2 ·d -1 ). (3) 알팔파의 생장계절 내에서 실뿌리 생산과 사망의 피크시기는 각각 8월말과 10월에 나타났으며, 최저점은 9월말-10월 중순과 6월말-8월에 나타났다. Glomus versiforme(Gv)를 접종한 후 실뿌리 현존량과 연생장량은 대조군과 접종한 기타 균종 처리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으며, 실뿌리의 회전은 대조군에서 가장 컸고, Gv와 Gm 접종 처리에서 비교적 낮았다. 결과적으로 AM 진균을 접종하여 알팔파 실뿌리 바이오매스를 향상시키고, 실뿌리 사망을 감소시키며, 실뿌리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