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Biochemical Studies on Ginseng Saponins (IX) Determination of Critical Micellar Concentration of the Saponin of Korean Ginseng Roots and its Effect on Lipid Dispersion and Enzyme Reaction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생화학회지
ISSN 0368-488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Joo, Chung-No,Lee, Sang-Jik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77-01-01
초록 한국 인삼 뿌리(금산삼, 5년근)의 한 성분인 인삼 사포닌의 여러가지 조건하에서의 임계미셀농도(critical micellar concentration, CMC)를 측정하고 인삼 사포닌의 지질 분산 효과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순수한 인삼 사포닌 용액의 CMC는 약 2%였으나 인삼 사포닌이 cholesterol과 공존할때의 인삼 사포닌의 CMC는 0.1%로 저하하였다. 2) Na-cholate가 cholestrol과 공존시의 CMC는 약 5mM였으나 이 혼합액에 인삼 사포닌을 0.1%이 되도록 가했을때 Na-cholate의 CMC는 약 1mM로 저하 되었다. 3) 또한 닭의 소장의 장강액에 인삼 사포닌을 가하면 (in vitro) 장강지질은 미셀조로 분산됨이 관찰되었다. 이와같은 실험결과로 미루어보아 인삼 사포닌은 생리적으로 중요한 담즙산이나 인지질에 의한 지질분산을 크게 도울 것으로 예측된다. 4) 여러 가지 효소(mitochondrial dehydrogenase들, alcohol dehydrogenase, aldehyde dehydrogenase, isocitrate dehydrogenase( $NADP^+$ ), transaminase 등) 반응에 미치는 인삼 사포닌의 영향을 관찰한 연구 결과는 인삼 사포닌이 상기한 모든 효소반응에 공통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풀이되며 어떤 특이한 효소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는 해석하기 어려운 것으로 미루어 보아 인삼 사포닌의 표면활성이 효소반응에 크게 영향을 미칠것으로 생각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773475517984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