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Vertical flux and resuspension of settling particulate matter of Sanggou Bay in summer and autum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學報 = Acta oceanologica sinica
ISSN 0253-419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YANG, Xi,YANG, Shu,SONG, Xian-li,SUN, Yao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침적물 포획기를 닻처럼 매다는 방식을 이용하여 중국 북방의 주요한 해수양식지역인 쌍거우 만 부유 입자상 물질의 침강 플럭스 분포특성을 연구하는 동시에 금속 Al 표기법을 이용하여 침강 입자상 물질의 재부유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쌍거우 만 저층의 부유 입자상 물질(SPM), 입자상 유기 탄소(POC), 입자상 총 질소(PTN)와 입자상 총 인(PTP)의 평균 외관상 침강 플럭스는 각각 1,511.4g/(m 2 ·d), 20.01g/(m 2 ·d), 1.497g/(m 2 ·d)와 0.474g/(m 2 ·d)로서 중국 다른 연안 해역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하지만 저층 침강 입자상 물질의 재부유율의 평균치는 무려 92.8%까지 도달하였는데 이는 양식 해만 내 재부유 정도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측정한 저층 외관상 침강 플럭스는 중층의 2.7배였고 가을철에 여름철보다 현저하게 높았으며 다시마와 가리비 양식지역은 굴 양식 지역보다 높았다. 재부유율의 교정을 거친 후의 순 침강 플럭스는 여전히 현저한 공간적 및 계절성 변화를 나타냈지만, 그 제어 요소는 근본적인 변화를 보여줬다. 그 주요 표현으로는 순 침강 입자상 물질은 주로 생물의 대사활동이 활발한 중상층 수역에서 온 것이었으며, 갑각류의 배설작용으로 인하여 굴과 가리비 양식지역의 순 침강 플럭스는 다시마 양식지역보다 훨씬 높았으며, 양식 갑각류의 체구가 커지고 배설량이 늘어남에 따라 가을철의 순 침강 플럭스는 여름철보다 높았다. 중국 연안 해역에서 재부유 작용의 영향은 해당 지역 부유 입자상 물질의 침강 플럭스 추정에 큰 오차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그 작용을 무시하여서는 안 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378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ettling flux,resuspension,SPM,Sanggou Bay,침강 플럭스,재부유,부유 입자상 물질,쌍거우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