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WANG, Chun,NI, Jia-jia,YAN, Qing-yun,LI, Jin-jin,LI, Xing-hao,YU, Yu-he |
초록 |
본 논문은 호수에서 양식한 초어(Ctenopharyngodon idellus)와 Megalobrama amblycephala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해당 물고기의 장내 세균 군집(intestinal bacterial community)의 16S rDNA에 대하여 세균 군집 중합효소 연쇄반응-변성 구배 겔 전기영동(polymerase chain reaction-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PCR-DGGE)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통하여 2종 물고기의 장내 미생물 군집 구조를 비교하였다. 2종 초식성 어류의 창자(intestinal)에서 서로 다른 밴드를 검출하였다. 그 가운데서 초어의 평균 밴드수는 (33.3±2.8) 가닥이었고, Bluntnose black bream의 평균 밴드수는 (38.0±2.5) 가닥이었다. 획득한 PCR-DGGE 지문 지도(fingerprinting map)의 밴드 풍부도 데이터를 토대로 UPGMA(unweighted pair-group method with arithmetic means) 클러스터 분석(cluster analysis)과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을 수행한 결과, 초어의 장내 세균 군집과 Bluntnose black bream의 장내 세균 군집은 유사하였으며, 초어와 Bluntnose black bream의 장내 세균 군집 사이 차이에 비하여 초어와 Bluntnose black bream의 개체 사이 차이가 더욱 뚜렷하였다. 그리고 초어 장내 세균 군집의 개체 분화는 아주 뚜렷하엿다. 밴드의 특정된 부분을 겔로 추출(gel extraction)하여 서열 측정을 수행한 결과, 초어와 Bluntnose black bream의 창자에서 검출한 세균 군집은 주로 γ-프로테오박테리아문(γ-Proteobacteria), 푸조박테리아문(Fusobacteria)과 페르미쿠테스문(Firmicutes)에 속하였으며, 또한 초어 창자에서 소량의 박테로이데테스문(Bacteroidetes) 세균을 검출하였다 상술한 연구 결과는 동일한 서식지의 먹이 습성이 유사한 야생 초어와 Bluntnose black bream의 장내 세균 군집 조성에 뚜렷한 차이가 없으며, 추출한 밴드를 서열 측정하여 검출한 세균 종류도 유사하다는 것을 설명한다. 연구 결과, 식성(food habit)이 장내 세균 군집 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간의 인식을 증가시켰으며, 또한 초어와 Bluntnose black bream의 장내 미생물 군집의 영양 물질 대사 방식은 유사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초식성 어류의 장내 세균 군집의 영양 물질 대사 참여 과정에 대한 심층적 연구에 참고적 자료를 마련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