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structure of chaetognaths in the tropical northeastern Indian Ocean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熱帶海洋學報 = Journal of tropical oceanography |
ISSN | 1009-5470, |
ISBN |
저자(한글) | LI, Kai-zhi,KE, Zhi-xin,LI, Gang,YIN, Jian-qiang,HUANG, Liang-min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모악동물(chaetognaths)은 해양 동물플랑크톤(Zooplankton)에서 특수한 종류이며 해당 종류와 수량 분포는 해류와 수괴 변화 및 해양 먹이 사슬에서의 에너지 전달을 탐색하는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2011년 4월~5월 사이 인도양 동북해역(80°E~98.5°E, 5°S~6°N)의 29개 사이트에서의 조사 데이터에 기초하여 모악동물의 종 구성, 풍도 분포와 개체군 구조 특징을 분석하였다. 총 14종의 모악동물을 감정했는데 온난한 수역 해양의 광역 분포종(widely distributed species)이 위주이다. 그중 불룩배화살벌레(Sagitta enflata), Sagitta pacifica, 넓적화살벌레(Pterosagitta draco)와 Sagitta ferox는 조사 해역에서의 우점종이다. 조사 사이트 설정 및 환경 특징에 근거하여 조사 해역을 동부 단면, 적도 단면과 서부 단면으로 나누었다. 종 수량의 변화 범위는 5~14종이며 종의 수량 분포가 불균일하다. 동부 단면의 매개 사이트에서는 대부분 10종 보다 적은 생물종이 존재하며 적도 단면과 서부 단면에서 종 수량이 비교적 풍부하였다. 모악동물의 평균 풍도는 5.35(±2.82)ind·m -3 이며 분포가 불균일하고 서부 단면의 풍도는 적도와 동부 단면에 비해 높았다. 개체군 구조 분석 결과, 조사 해역의 모악동물은 3가지 군집(유사도 수순 50%)으로 나눌 수 있다. 군집I에는 11종이 포함되어 있으며 조사 해역의 주요 종류이고 분포가 비교적 광범위하다. 기타 두가지 개체군에는 3가지 종 밖에 존재하지 않으며 주로 동부와 서부 단면의 일부 조사 사이트에서만 나타난다. 조사 사이트 사이 유사성이 비교적 높았는데 특히 서부 단면 사이트에서의 유사성은 70% 이상이다. 서부 단면은 연안 해수와 용승수의 영향을 받아 생물종 다양성과 풍도가 비교적 높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39511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Zooplankton,chaetognaths,species,abundance,Indian Ocean,동물플랑크톤,모악동물,종류,풍도,인도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