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reparation of monoclonal antibody to pathogen Edwardsiella ictaluri and application in red-head disease of yellow catfish Pelteobagrus fulvidraco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大連海洋大學學報 = Journal of Dalian Ocean University
ISSN 2095-1388,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 Qiang,HUANG, Hua,ZHANG, Xian-yu,YE, Shi-gen,LI, Hua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황상어(Pelteobagrus fulvidraco) 'red-head 질병'의 근원-Edwardsiella ictaluri A86을 항원으로 하고, 하이브리도마(hybridoma) 기법을 이용하여 Edwardsiella ictaluri 분리균주의 단일클론항체 5D11, 1B8, 1G7, 3G8, 5A9, 3H8을 제조하였으며, 그 역가는 1:1280, 1:1280, 1:2560, 1:320, 1:160과 1:80이다. 연구결과, 6주 단일클론항체는 11주 Edwardsiella ictaluri 황상어 분리균주와 서로 결합할 수 있으며, Edwardsiella tarda, 아에로모나스(Aeromonas), 대장균,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비브리오균 등 10주 참조균주와 교차반응을 할 수 없고, 단일클론항체 5D11과 1B8은 Edwardsiella ictaluri 참조균주와 결합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면역 형광과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하여 Edwardsiella ictaluri에 의한 황상어의 감염 법칙을 검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황상어에 Edwardsiella ictaluri A86을 주사하여 감염시킨 6시간 후, 그 간장, 신장, 비장, 심장, 장과 위에서 양성세균이 검출되었다. 그중 비장에 가장 많았고 심장에 가장 적었다. 감염 24시간 후, 뇌에서 양성세균을 검출하였다. 30시간 후, 아가미에서 양성 신호가 나타났고, 54시간 후, 눈 주위에서 소량의 양성 세균을 검출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는 황상어 체내에서 Edwardsiella ictaluri의 발병 메커니즘을 한층 더 연구하는데 기술적 수단과 기초를 제공하였으며, 황상어 'red-head 질병'의 발병 메커니즘을 확정하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3821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elteobagrus fulvidraco,red-head disease,Edwardsiella ictaluri,monoclonal antibody,황상어,red-head 질병,Edwardsiella ictaluri,단일클론항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