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Long-Term Changes in Fishery Resources and Environment in the Laizhou Bay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海洋湖沼通報 = Transactions of oceanology and limnology |
ISSN | 1003-6482, |
ISBN |
저자(한글) | ZHANG, Jin-feng,GAO, Xue-lu,ZHUANG, Wen,LI, Pei-miao,ZHOU, Feng-xia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과거 30년 동안 라이저우만(Laizhou Bay) 환경의 전형적 오염물, 식물플랑크톤, 어업자원 조사자료에 근거하여 라이저우만 물환경 수질, 식물플랑크톤, 어업자원의 변화 법칙을 제시하였고 3가지 사이 관계를 간단히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 20세기 80년대 초기에서 21세기 초기에 이르기까지 라이저우만 환경 무기질소(inorganic nitrogen, IN)의 평균 함량은 낮은데서 높은데로 변화하였고 2009년에 이르러 무기질소 함량은 5급수외 해수 수질표준을 초과하였다. 무기인(inorganic phosphorus, IP)의 평균 함량은 전반적으로 낮아지는 추세였고 질소와 인의 몰비(mole ratios)는 대부분의 조사 시간대에서 Redfield 임계값(16)에 비해 높았다. (2) 1980년대 말 후로 인(P)은 라이저우만 식물플랑크톤의 생장을 제약하는 제한영양염이었다. 라이저우만 식물플랑크톤의 종류는 감소하였고 군락 구조는 간이화(simplified)의 경향을 보였다. (3) 라이저우만 어획 생물종 수는 연평균 1.5종 줄었고 어란(fish eggs), 자치어(larvae and juveniles) 종 수는 연평균 0.7종 감소하였다. 단위 어획노력량 어획량은 연평균 10kg/h 감소하였고 연해 어획량은 해마다 감소하였다. 다만 웨이팡시(Weifang City) 연해 어획량은 1989년의 18.7만톤에서 2007년의 1.7만톤으로 감소하였다. (4) 식물플랑크톤 생장 제한영양염은 질소에서 인으로 바뀌었고 라이저우만 식물플랑크톤 군락에서 절대적인 지배 위치에 있던 규조류(diatoms)는 규조류/와편모조류(dinoflagellates) 공동 지배로 변화하였다. (5) 기타 요인와 비교하여 질소/인 비례와 라이저우만 연해 어획량의 상관성은 더욱 뚜렷하였다. 질소/인 비례 및 COD 함량은 어획 생물종 수와 뚜렷한 상관성이 있었다. 이로부터 해수 질소/인 비례는 라이저우만 어업 자원량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이며 자원의 생물종 수는 유기물 오염의 영향을 크게 받음을 알 수 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37799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Laizhou Bay,inorganic nitrogen,inorganic phosphorus,phytoplankton,fishery resources,correlation,라이저우만,무기질소,무기인,식물 플랑크톤,어업 자원,상관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