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he effects of dietary protein and fat on growth and flesh quality of Atlantic salmon (Salmon salar L.) in the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科學 = Marine science
ISSN 1000-309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U, Yang,LI, Yong,GAO, Tingting,SUN, Yaqiong,ZHOU, Bangwei,WANG, Shunkui,WANG, Xiaoche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사료 지방과 단백질 영양이 공업 양식 대서양 연어(Salmon salar L.)의 생장 성능과 근육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3×2 쌍요소 실험설계 방법(3가지 지방 수준: 18%, 21%, 24%, 즉 F18, F21, F24; 2가지 단백질 수준: 38%, 48%, 즉 P38, P48)으로 배합사료에 대한 6가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공업 밀폐순환 해수양식 조건에서 초기 중량이 (650.0±45.50)g인 대서양 연어 720마리에 대한 56일간의 동물 사육 실험을 진행하고, 근육 지방산과 아미노산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1) 중지방 수준(F21)과 고단백질 수준(P48)의 사료를 먹인 실험군의 성장 성능이 비교적 좋았다. 체중 증가율은 지방 수준의 제고에 따라 먼저 증가하고 나중에 하강하였다 중고지방 실험군의 체중 증가율은 저지방 실험군보다 43.5% 높았고(P lt;0.01), 고단백질 실험군의 체중 증가율은 저단백질 실험군보다 44.99% 높았다(P lt;0.01). 중지방 고단백질 실험군(P48F21)의 체중 증가 효과가 가장 좋았다. (2) 지방 수준이 근육 아미노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은 현저하지 않았다. 단백질 수준은 근육의 9가지 필수 아미노산과 4가지 풍미 아미노산과 정(+)상관관계를 나타내며, 고단백질 실험군의 아미노산 함량은 3.60%~17.00% 증가하였다(P lt;0.05/0.01). (3) 지방 수준은 근육 불포화 지방산 함량과 정(+)상관관계를 나타내며, 단백질 수준은 이와 부(-)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고지방(P24)과 저단백질(P38)은 근육 불포화 지방산 함량의 제고에 유리하였다. 고지방 실험군의 근육 Sigma; omega;-3PUFA, Sigma;HUFA, DHA, EPA 함량은 저지방 실험군보다 각각 15.74%, 26.60%, 15.41%, 7.67% 높았다(P lt;0.01/0.05). 저단백질 실험군의 근육 DHA 함량은 11.91% 증가하였고(P lt;0.01), EPA 함량은 10.02% 증가하였다(P lt;0.05). 저단백질 중고지방 실험군(P38F21, P38F24)의 효과가 좋았다. 연구 결과, 공업 밀폐순환 수산양식은 대서양 연어의 지방 영양분에 대한 수요을 일정하게 낮추었고, 본 실험 조건에서, 중고지방과 중저단백질 실험군은 생장 성능의 제고에 유리하면서, 근육 omega;-3HUFA와 주요 아미노산 축적을 증가시켰다. 이는 공업화 양식한 대서양 연어의 근육 개선형 배합사료의 개발을 위하여 중요한 의거를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836391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Dietary fat and protein,muscle fatty and amino acid,growth performance,Atlantic salmon (Salmon salar L.),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s,사료 지방과 단백질,근육 지방산과 아미노산,생장 성능,대서양 연어(Salmon salar L.),밀폐순환 수산양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