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CHENG, Xiaofei,TIAN, Jingjing,JI, Hong,LI, Nanchong,ZHONG, Lei,FANG, Cheng,LIU, Chao |
초록 |
324마리의 건강한 Cyprinus carpio var.specularis[(10.70±0.70)g]를 랜덤으로 실내 순환수 양식 시스템의 12개 항아리에 평균 분배하였다. 누에 번데기(silkworm chrysalis) 기초사료에 각각 2%의 대두유(soybean oil, SO), 유채유(rapeseed oil, RO), 어유(fish oil, FO) 및 혼합유(mixed oil, MIX, 대두유:유채유:어유=1:1:1)를 첨가하여, 4개 그룹의 동질소(36.5%) 및 동지질(7.0%) 사료를 배합하였다. 58일간 사육한 후, 다양한 지방원(lipid sources)에 대한 Cyprinus carpio var.specularis의 이용 효과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1) 대두유 그룹의 체중은 혼합유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고, 장의 길이(Intestinal length)는 기타 각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길었으며, 비만도와 장 지수(intestine index)는 어유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다(P lt;0.05). 혼합유 그룹의 간췌장 지수(hepatopancreas index)는 어유 그룹과 대두유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낮았으며, 유체유 그룹은 대두유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낮았다(P lt;0.05). (2) 대두유 그룹의 어체 수분은 유채유 그룹과 혼합유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고, 대두유 그룹의 조지방 함량은 기타 각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낮았다(P lt;0.05). 대두유 그룹의 근육 수분은 어유 그룹과 혼합유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다(P lt;0.05). 다양한 지방원은 Cyprinus carpio var.specularis의 어체 및 근육 조단백질과 회분(ash), 근육 조지방, 간췌장의 일반 체성분에는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 gt;0.05). (3) 간췌장과 근육 지방산 조성은 사료의 지방산 조성을 반영하였다. 대두유 그룹과 유채유 그룹의 간췌장 PUFA(polyunsaturated fatty acid) 수준은 비슷하였으며, 모두 어유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다(P lt;0.05). 대두유 그룹의 근육 PUFA 수준은 어유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으며(P lt;0.05), 유채유 그룹의 근육 HUFA(highly unsaturated fatty acid) 수준은 어유 그룹과 혼합유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다(P lt;0.05). (4) 유채유 그룹의 혈청 GLU(glucose) 수준이 대두유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높은 것 이외에(P lt;0.05), 4가지 지방원은 Cyprinus carpio var.specularis의 기타 혈청 생화학적 지표 수준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 gt;0.05). (5) 그룹 간 혈청 T-SOD(total superoxide dismutase) 활성은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며(P gt;0.05), 대두유 그룹의 GSH-XP(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은 기타 각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고(P lt;0.05), MDA(malonaldehyde) 수준은 어유 그룹 및 혼합유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낮았으며(P lt;0.05), 어유 그룹의 혈청 AKP(alkaline phosphatase) 활성은 기타 각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낮았다(P lt;0.05). 어유 그룹의 간췌장 T-SOD 활성은 기타 각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으며(P lt;0.05), AKP 활성은 유채유 그룹과 혼합유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고(P lt;0.05), GSH-XP 활성은 혼합유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으며(P lt;0.05), MDA 수준은 기타 각 그룹과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P gt;0.05). 상술한 내용을 종합한 결과, 대두유에 대한 Cyprinus carpio var. specularis의 이용 효과가 가장 양호하였고, 그 다음으로 유채유였으며, 어유와 혼합유에 대한 이용 효과가 가장 낮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