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트라디올 유도체의 합성, 표지 및 체내동태에 관한 연구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大韓核醫學會誌 =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ISSN | 1225-6714, |
ISBN |
저자(한글) | 김상욱,양승대,서용섭,전권수,안순혁,임수정,최창운,임상무,김영순,유국현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00-01-01 |
초록 | 목적: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불균질 분포와 시간 변화에 따른 수용체 상태의 변화 때문에 조직검사를 통한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생화학적 측정은 유방암을 진단하기에 충분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런 단점을 개선하고 좀더 나은 유방암의 진단을 위하여 E- $[^{123}I]$ IVE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유방암 환자의 영상을 얻기에 적합한 방사성 추적자를 개발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여러 가지 에스트라디올 유도체 중에서 $17{ alpha}$ -ethynyl estradiol로부터 $17{ alpha}-[^{123}I]$ iodovinyl estradiol ( $[^{123}I]$ IVE)을 합성하였다. E- $[^{123}I]$ IVE는 peracetic acid와 $[^{123}I]$ NaI를 이용하여 합성하였고, Z- $[^{123}I]$ IVE는 chloramine-T/HCl과 $[^{123}I]$ NaI로 합성하였다. 표지수율은 TLC-scanner를 이용해 측정하였으며, 방사 화학적 순도는 HPLC로 측정하였다. E- $[^{123}I]$ IVE의 체내 동태 연구는 immature female Fisher rate를 사용해 60분, 120분 그리고 300분에 측정하였다. 결과: E- $[^{123}I]$ IVE와 Z- $[^{123}I]$ IVE의 표지수율은 각각 92%와 94%이었고, 정제 후 방사 화학적 순도는 98% 이상이었다. E- $[^{123}I]$ IVE의 최고섭취는 uterus에서 주사 120분 후에 관찰되었다(3.11%ID/g). 결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E- $[^{123}I]$ IVE는 유방암환자의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존재를 평가하는 진단시약으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0013704606543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Breast cancer, lt,TEX gt,$[^{123}I]$ lt,/TEX gt,IVE,Estrogen recepto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