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대식세포(macrophage)에는 여러 종의 아형(subtype)이 있다. 전통적으로 활성화 된(classically activated) 대식세포(M1)와 대체 활성화 된(alternatively activated) 대식세포(M2)는 대식세포 이질성의 양 분극부분으로서 각각 Th1과 Th2 세포 인자를 통해 활성화 된다. M1과 M2 대식세포의 표면의 표지 인자(Surface markers), 세포에서 분비된 사이토카인과 케모카인 모두가 자기만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대식세포의 분극화(polarization)는 다양한 분자에 의해 조절되는데 전사 인자가 그 중 주효한 그룹을 이룬다. 분극화된 대식세포는 서로 다른 미세 환경에 존재하여 각각의 역할을 한다. 몸의 대사 상태는 크게 분극화된 대식세포, 지방세포, 간세포, 골격근세포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이런 상호작용은 제 2형 당뇨병의 발병 및 진행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분극화된 대식세포와 혈관의 평활근세포, 내피세포, 심근세포 간의 상호작용이 심혈관 질환의 발병 및 진행에 관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항 염증 작용을 하는 M2 대식세포로 하여금 제 2형 당뇨병과 심혈관 질병에서 보호 역할을 하게 한다. 이러한 연구는 생리학 병리학 측면에서 대식세포 분극화 기능에 대한 인식을 넓혀주었고 다양한 임상치료 기법을 제시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