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대조(CK), 연속적 범람(CF), 주기적 범람(PF)등 3가지의 수분 처리 과정을 설치하고 중국 산샤(Shanxia)저수지 호반대 토양의 수분 변화를 모사 하였으며 당시 실제로 자라던 향토적인 수종 중국굴피나무(Pterocarya stenoptera) 유묘의 생리생태학적 적응 메커니즘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서로 다른 수분 처리는 중국굴피나무 유묘의 광합성 작용, 생물량 축적과 생장에 모두 명확히 영향준다. CK와 비교하였을때 CF와 PF그룹에 중국굴피나무 유묘는 세포 사이 CO 2 농도가 높아지는 외에 순수 광합성 속도(Pn)와 기공전도도(gs)는 모두 명확히 낮아졌다. 그 변화 추세는 중국굴피나무 유묘의 Pn, gs는 실험 초기에 낮아졌다 점차 회복되거나 안정되는 추세를 보인다. 처리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CF와 PF그룹에 중국굴피나무 유묘의 총생물량, 뿌리 생물량, 줄기 생물량, 잎사귀 생물량, 식물 높이와 기초 직경은 모두 높아지는 추세를 보인다. CF와 PF 그룹에 총 생물량, 뿌리 생물량, 잎사귀 생물량과 식물 높이 및 PF그룹에 줄기 생물량은 모두 CK그룹보다 적다. 반면 CF그룹에 줄기 생물량은 CK그룹과 큰 차이가 없으며 기초 직경은 CK그룹에 비해 크다. 중국굴피나무 유묘는 홍수에 대한 내수성이 강하지만 반면 홍수-가뭄의 교차적 생리생태학적 특성에는 약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