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WANG, Yun,ZHENG, Hao-ying,FAN, Yong-xin,YANG, Jian-wei,ZHANG, Lin,ZHANG, Cheng,CHEN, Hui-ru,CHEN, Cheng,NIU, Qiu-hong |
초록 |
[목적] 소나무 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에 대한 살선충 활성(nematicidal activity)이 높은 방선균 균주를 선별하고 감정하며 생물학적 방제 균주의 독성 인자(virulence factor)를 확정한다. [기법] 평판 활성 실험 및 대사물을 통한 살선충 활성 검출 방법을 이용하여 균주를 선별하며 형태학 및 16S rDNA 서열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균주를 감정한다. 발효액 내 활성 물질의 안정성을 분석한 후, 알코올 침전(alcohol precipitation), 추출, 크로마토그래피(chromatograph), GC-MS 등 방법을 이용하여 살선충의 독성 인자를 분리하고 정제한다. [결과] 허난성(Henan Province) 난양시(Nanyang City) 바오톈만(Baotianman) 지역에 있는 썩은 목재, 마른 나뭇가지 및 낙엽 샘플로부터 79주 방선균을 분리하였으며 해당 방선균에서 소나무 재선충에 대해 불활성 작용을 하는 6주 방선균을 선별하였다. 그중에, 분리 균주 C620은 소나무 재선충에 대한 불활성은 가장 높았으며 그 균주의 발효액을 사용하여 소나무 재선충을 48시간 혹은 60시간 처리한 후, 재선충의 사망률은 각각 60.0%, 81.5%에 도달하였다. 해당 균주는 형태학, 생리학 특징 및 16S rDNA 서열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Kitasatospora 속에 분류되고 균주 번호는 Kitasatospora sp. strain C620였다. 그 균주의 발효액 가운데 살선충 활성 물질의 열 안정성, 광 안정성 및 저장 내성은 비교적 강하고 중성 및 알칼리성 환경에서 비교적 안정적이었다. 또한, pH 시험지 전기영동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해당 물질이 알칼리성 수용성 물질에 속하는 것을 초기에 확정하였다. 또 균주 C620의 발효액을 분리하고 정제한 다음, 활성 화합물 1-페닐-3-(2-피리딜)-5-피로졸론[1-phenyl-3-(2-pyridyl)-5-pyrazolone]을 얻었다. [결론] 소나무 재선충의 고 효율적인 생물학적 방제 균주 Kitasatospora sp. strain C620을 얻었으며 그 활성 물질은 1-페닐-3-(2-피리딜)-5-피로졸론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