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장수버섯 균사체가 배양된 옻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ISSN 0253-651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최한석,김보현,여수환,정석태,최지호,박효숙,김명곤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0-01-01
초록 옻피의 일반성분은 수분 1.64%, 지방 8.09%, 단백질 7.28%, 회분 6.48%, 당류 5.39%로 구성되어 있었던 반면, 장수버섯을 증식시킨 옻나무 껍질은 각각 7.64%, 3.86%, 3.59%, 6.30%, 불검출 이었다. 배양물의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97.41mg%으로 대조구(71.91 mg%)에 비하여 35% 증가하였으며 phosphoserine(55.06 mg%), ammonia(17.84 mg%), aspartic acid (6.05 mg%)가 주요 유리아미노산 이었다. 배양물의 총 phenolic acid함량은 422.89 ppm/283.86 ppm(알코올/물 추출물)이었으며 syringic acid와 gallic acid가 주요 성분이었고 vanillic, protocatechuic acid가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항산화활성(DPPH, $IC_{50}$ )은 $28.54 ;{ mu}g/54.70 ;{ mu}g$ (알코올/물 추출물)으로 gallic acid가( $IC_{50} ;1.84 ;{ mu}g$ ) 주요 영향 요소이었다. 배양물의 NIH3T3세포에 세포독성( $IC_{50}$ )은 알코올 추출물 $50 ;{ mu}g/200 ;{ mu}L$ , 물 추출물 $90 ;{ mu}g/200 ;{ mu}L$ 이었으며 UV조사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stress에 대하여 $20-25 ;{ mu}g/200 ;{ mu}L$ 농도에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배양물의 물 추출은 전구지방세포(3T3-L1)의 분화를 촉진시켰으며 $10 ;{ mu}g/200 ;{ mu}L$ 의 농도에서 가장높았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00704967310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dipogenesis,Anti-oxidant activity,Fomitella fraxinea,Proximate composition,Rhus verniciflu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