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만성신부전 환자에서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rhEPO)의 피하주사시 생체이용율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臨床藥理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Clin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ISSN 1225-546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김경수,이영수,김광호,김용식,신상구,박찬웅,이경훈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93-01-01
초록 연구배경: RhEPO는 만성신부전 환자에서 빈혈을 교정하는데 탁월한 것으로 입증되어 왔으나 비싼가격으로 인해 임상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경비를 절감하고 효과를 극대화하기위해 용량과 투여빈도를 가능한한 적게할 필요성이 있어 근자에 피하주사에 대 한 기대 가 증대 되고 있으나 rhEPO의 피하주사시 생 체 이용율은 보고마다 차이가 많았다. 방법: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7명의 만성신부전 환자에 체중 kg 당 50units의 rhEPO를 피하 및 정 맥으로 교차투여한 후, 투여후 72시간까지의 혈장 EPO를 방사선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하고 피하주사시의 생체 이용율을 평가하였다. 결과: 정맥주사시 최고 혈장농도 $(C_{max})$ 는 평균 $526.9{ pm}257.3mU/ml$ 를 나타내어 피하주사시보다 9배이상 높았고, 혈장 반감기(mean plasma half-life) 및 MRT는 각각 $9.8{ pm}5.6$ 시간 및 $14.2{ pm}7.8$ 시간이었고 $AUC_{IV(0-72hr)}$ 는 $349.3{ pm}83.8U/ml.min$ 이었으며 평균 분포용적 $(V_{dss})$ 은 $115.5{ pm}44.8ml/kg$ 이었다. 피하주사시에는 주사시작후 $18.1{ pm}11.5$ 시간에 $56.3{ pm}47.3mU/ml$ 의 최고 혈장농도에 도달하였으며 투여후 32 시간부터는 정맥주사시보다 혈장농도가 높게 유지되었고, 반감기 및 MRT는 $50.7{ pm}57.9$ 시간 및 $93.4{ pm}91.9$ 시간으로 정맥주사시보다 현저히 연장되었다. 피하주사시 $AUC_{SC(0-72hr)}$ 는 $112.5{ pm}60.3U/ml.min$ 로 생체 이용율은 정맥주사시의 $30.9{ pm}11.2%$ 이었다. RhEPO 투여후 3개월 동안의 적혈구 용적률 변화를 관찰한 결과 피하주사시의 7.7% 증가에 비해 정맥주사시의 증가 정도는 4.7%로 증가폭이 적었다. 결론: RhEPO를 피하주사시 투여후 32시간부터는 정맥주사시보다 혈장농도가 높게 유지되었고 생체이용율은 정맥주사시의 30.9%이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930303698429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Erythropoietin,Subcutaneous bioavailability,Chronic renal failure,Hemodi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