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soil moisture in root zone and top-most layer in Chin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植物生態學報 = Chinese journal of plant ecology
ISSN 1005-264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U, Suxia,XING, Bo,YUAN, Guofu,MO, Xingguo,LIN, Zhonghu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근층과 표층 토양 수분의 관계는 비교적 쉽게 획득할 수 있는 표층 토양 수분 정보를 통하여 비교적 어렵게 획득하게 되는 심층 토양 수분 정보를 연구하는 중요한 다리 역할을 한다. 기존의 근층과 표층 토양 수분 관계(근표 관계라고 약칭)는 모두 하나의 작물 혹은 하나의 생태계에 근거하였다. 본 연구는 삼림, 초원, 농지, 사막 및 늪 등의 생태계를 포함하는 중국 생태계 연구 네트워크의 31개 구역 109개 관측장에서 2006년 한해 동안 3437쌍의 근층과 표층 토양 수분 데이터를 기반으로, 근표 관계와 생태계, 토질, 습윤도, 식생, 토양 두께, 토양 수분량 등급이 근표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표층과 근층 토양 수분은 선형관계가 존재한다. 삼림과 늪의 근층과 표층 토양 수분의 상관관계는 비교적 높으며, 교정(calibration)구역이나 점검(check) 구역을 막론하고 그 결정 계수(R 2 )는 모두 0.79 이상이다. 농지와 초원 생태계의 교정 구역 상관관계는 비교적 좋으며, R 2 는 모두 0.80 이상이다. 점검 구역의 상관관계는 비교적 약하며, R 2 는 각각 0.70과 0.50이다. 사막 생태계의 상관관계는 가장 약하며, 교정 구역의 R 2 는 0.62이고, 점검 구역의 R 2 는 0.49이다. 토질과 생태계 요소가 근표 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비교적 일치한다. 반습윤 지대, 반건조 지대 및 건조 지대의 근표 관계 공간분화(Spatial differentiation)가 가장 강하고, 아주 습윤한 지대의 근표 관계는 토양과 삼림 생태계의 근표 관계와 비슷하다. 습윤 지대 내부의 근표 관계는 비교적 일치한다. 식생의 근표 관계에 대한 영향을 4개 종류로 나누었을 때, 앞의 두 종류는 근표 관계가 미약한 식생으로서, 식생 자체 또는 식생 외의 지역 요소로 인하여 근표 관계를 이용하여 표층에서 근층 토양 수분을 추산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다. 뒤의 두 종류는 근표 관계가 양호한 식생으로서, 복종과 불복종 관계 라인으로 구분하며, 각각의 근표 관계 또는 관계 라인을 이용하여 표층 토양 수분으로부터 근층 토양 수분을 획득할 수 있다. 표층 토양 수분은 0 ndash;20, 0 ndash;30, -----, 0 ndash;100cm 토층의 토양 수분과 각각 양호한 상관관계를 가지는데, 양자의 상관성은 토층 두께의 증가에 따라 떨어잔다. 그러나, 토층 두께가 100cm라 할지라도 R 2 는 여전히 0.79를 유지할 수 있다. 토양 수분을 각각 모든 관측 데이터의 최대값과 각 생태계 데이터의 최대값으로 나눈(divided by) 결과, 근표 관계는 토양 수분 등급 자체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643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ecosystem,precipitation,soil property,soil thickness,the order of the magnitude of soil moisture,Surface soil moisture and root layer,vegetation,생태계,강수량,토질,토층 두께,토양 수분량 등급,표층 및 근층 토양 수분,식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