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유암 처방에 사용되어온 한약재 복합 처방전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에 관한 연구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ISSN 1225-9918,2287-340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최은옥,손다희,김민영,황보현,김홍재,정진우,홍수현,박철,최영현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6-01-01
초록 본 연구에서 동의보감에 기록된 유암 치료에 사용되어온 5가지 한약재 처방전인 십육미류기음, 단자청피탕, 지패산 #x2160;, 지패산 #x2161;와 청간해울탕의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총 페놀 함량의 비교 분석과 항산화능 및 항균활성능을 비교 조사하였다. 열수와 70%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각각 지패산 #x2161;와 단자청피탕이 가장 높았으며, 총 페놀 함량은 다른 한약재에 비해 단자청피탕이 가장 높았다. 열수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지패산 #x2160; #x3C; 청간해울탕 #x3C; 지패산 #x2161; #x3C; 십육미류기음 #x3C; 단자청피탕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70% 에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지패산 #x2161; #x3C; 지패산 #x2160; #x3C; 청간해울탕 #x3C; 십육미류기음 #x3C; 단자청피탕 순으로 풍부하였다. 그 중 단자청피탕과 십육미류기음의 환원력과 DPPH radical과 ABTS radical 소거능이 가장 뛰어났으며, 이들 시료의 총 페놀 함량과 그들의 항산화능과의 밀접한 상관도가 관찰되었다. 또한 Staphylococcus aureus 및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활성은 열수보다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효과가 높게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유암의 치료에 사용되었던 조사 대상 한약재 처방전은 항산화와 항균 활성은 그들의 총 페놀 함유량과 연관성이 높았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각 처방전에 대한 구체적인 생리활성 비교를 위한 자료로서 활용될 것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62083673673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ntimicrobial activity,antioxidant activity,total phenolic contents,traditional herb-combined reme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