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Non-Starch Polysaccharide Enzymes in Diets with Seaweed Ulva pertusa on Growth, Dietary Apparent Digestibility and Flesh Nutrition Composition of Siganus canaliculatu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漁業科學進展 = Progress in fishery sciences
ISSN 2095-986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YOU, Cui-hong,LI, Qian,WANG, Shu-qi,LI, Yuan-you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효소제제가 흰점독가시치(Siganus canaliculatus)가 해조류 구멍갈파래(Ulva pertusa) 사료에 대한 소화 이용률을 향상하는데 도움이 되는지를 연구하고자, 총 단백질 수준이 32%, 총 지방 수준이 8%인 조건에서 6가지 사료를 배합하였는데, 그 중에는 2개 대조군(구멍갈파래를 첨가하지 않은 그룹 C1, 15%의 구멍갈파래를 첨가한 그룹 C2), 4개 실험군이 포함되었다. 흰점독가시치 유어를 56일 동안 양식한 후, 어류의 생장 성능, 소화관 소화효소의 활성 및 사료의 겉보기 소화율 등을 비교하여 효소제제의 효과 및 최적의 첨가량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4가지 실험 사료로 양식한 흰점독가시치의 무게 증가율, 특수 생장률, 단백질 효율 등은 C2 대조군에 비해 양호하였으나, C1 대조군과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T4 실험군의 단백질 효율을 제외함)(P gt;0.05). 어류의 생화학 성분 및 위, 전장(foregut), 간장의 프로테아제(protease), 아밀라아제(amylase), 리파아제(lipase) 활성은 각 그룹 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P gt;0.05). 실험군 어류의 사료 내 단백질에 대한 겉보기 소화율은 C2 대조군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다(P 구멍갈파래를 첨가한 그룹의 근육 내 불포화 지방산 18:2n6, 20:5n3, 22:5n3와 필수 아미노산 Met, Tyr 함량이 뚜렷하게 감소하고(P 그러므로 구멍갈파래 사료에 비전분 다당류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흰점독가시치의 생장 효과와 사료 이용률을 향상할 수 있었으며, 어류 육질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408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Non-starch polysaccharide enzyme,Siganus canaliculatus,Seaweed diet,Digestive enzyme,Apparent digestibility coefficient,비전분 다당류 분해효소,흰점독가시치,해조류 사료,소화효소,겉보기 소화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