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Stocking Density on the Growth and Physiology of Adult Turbot and Changes in Water Quality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漁業科學進展 = Progress in fishery sciences
ISSN 2095-986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QIAO, Wei,SONG, Xie-fa,GAO, Chun-ren,LIU, Bin,LEI, Ji-lin,ZHAI, Jie-m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초기 체중이 (580.9±44.65) g인 대문짝넙치(Scophthalmus maximus) 성어를 저밀도 A군(14.30 kg/m 2 ), 중간 밀도 B군(20.49 kg/m 2 ), 고밀도 C군(31.32 kg/m 2 )의 표준에 따라 3개 다양한 양식 밀도군으로 분류한 후, 순환수 양식 시스템에서 120일 동안 양식하였다. 동시에 대문짝넙치의 생존율, 체중 차이, 사료 계수, 라이소자임(lysozyme) 수준 및 양식수 중 총 암모니아성 질소(total ammonia nitrogen, TAN), 아질산성 질소(NO 2 - -N), COD 농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이 끝날 때 A, B, C군의 대문짝넙치 양식 밀도는 각각 30.09, 41.30, 60.07 kg/m 2 에 달하였으며, 각 실험군의 생존율은 모두 95% 이상이었다. 대문짝넙치의 양식 밀도가 체중 증가율에 미치는 영향은 주요하게 연구 초기에 나타났으며, 양식 밀도의 증가와 더불어 각 실험군의 체중 차이에 뚜렷한 변화가 발생하였다(P 대문짝넙치 A, B, C군의 사료 계수는 각각 0.73, 0.75, 0.82였으며, 양식 밀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연구를 시작한지 5일 되었을 때, 고밀도군의 대문짝넙치의 라이소자임 수준은 향상되었고, 20일 후 혈액 라이소자임 수준은 점차 감소되었으며, 40일 후에는 저밀도군에 비해 뚜렷하게 낮았다. 연구 기간에 시스템이 안적적으로 작동되었으며 순환수에서 양식한 대문짝넙치의 다양한 밀도는 시스템의 각 수질 지표, 즉 총 암모니아성 질소(TAN), 아질산성 질소(NO 2 - -N), COD 농도의 변화에 뚜렷한 영향을 미쳤다(P 그러므로 양식 밀도가 높을수록 각 수질 지표가 뚜렷하게 증가하였으나 고밀도군의 각 수질 지표는 모두 어업수질기준에서 규정한 농도를 초과하지 않았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408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Turbot,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s,Stocking density,Water quality,Growth performance and physiology,대문짝넙치,순환수 양식 시스템,고밀도,수질,생장 생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