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different diet protein sources on carbon and nitrogen isotope fractionation of juvenile cobia Rachycentron canadum L.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熱帶海洋學報 = Journal of tropical oceanography |
ISSN | 1009-5470, |
ISBN |
저자(한글) | ZHOU, Hui,CHEN, Gang,SHI, Gang,ZHANG, Jian-dong,DONG, Xiao-hui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사료 내 다양한 단백질 원천이 날새기 유어(juvenile cobia)의 탄소, 질소 안정 동위원소 분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질소와 에너지량이 같은 3가지 사료를 배합하였다. D1은 어분을 단백질 원천으로 하고 D2와 D3 사료는 맥주 효모와 옥수수 단백질로 10%의 어분 단백질을 대체하였으며 3가지 사료를 24일간 유어에게 먹였다. 연구 결과, 맥주 효모와 옥수수 단백질로 10%의 어분 단백질을 대체한 후 유어의 체질량 증가율은 뚜렷하게 낮아졌다. 양식 시간이 길어질수록 모든 처리 그룹 내 유어의 탄소 안정 동위원소 비율 δ 13 C은 점차 높아지고 질소 안정 동위원소 비율 δ 15 N은 점차 낮아진다. 어체와 근육의 δ 15 N 변화 속도는 차이가 존재하였지만 여러 가지 사료 그룹의 어체와 근육 내 δ 13 C와 δ 15 N는 24시간 후 D1사료를 제공할 때와 균형을 이룬다. 사료 내 10%의 어분 단백질을 맥주 효모와 옥수수 단백질로 대체하였을 때 유어의 근육과 어체 샘플 내 탄소 동위원소 축적 Δ 13 C 값은 줄고 질소 동위원소 축적 Δ 15 N 값은 높아진다. 그중 어체의 Δ 13 C는 4.19‰에서 3.94‰와 3.63‰로 낮아졌으며 근육의 Δ 13 C는 4.46‰에서 3.98‰와 3.67‰로 낮아졌다. 어체의 Δ 15 N는 0.18‰에서 0.88‰와 0.94‰로 높아졌으며 근육의 Δ 15 N는 0.18‰에서 0.74‰와 0.87‰로 높아졌다. 날새기가 3가지 서로 다른 단백질 원천의 사료를 섭취할 때 어체와 근육의 Δ 13 C와 Δ 15 N의 변화 추세는 비슷하였지만 어체의 δ 15 N의 변화 속도는 근육에서 보다 느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근육은 생태학의 영양급 연구(긴 시간 척도)에서 날새기의 탄소, 질소 동위원소 특징을 대표할 수 있다. 그러나 대사생리학적 연구에서 근육은 날새기 어체의 δ 15 N 변화 과정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39521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juvenile cobia,beer yeast meal,corn gluten meal,δ lt,sup gt,13 lt,/sup gt,C and δ lt,sup gt,15 lt,/sup gt,N,isotope fractionation,날새기 유어,효모 단백질,옥수수 글루텐 박,탄소, 질소 안정 동위원소,동위원소 분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