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희토류 선광/정제 공정 중 발생된 오염원의 특성 및 처리기술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ISSN 1738-2424,2287-672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강경림,김덕민,김승섭,김지형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희토류의 특성과 자연에 부존하는 광상에 따른 선광 및 정제(분해침출/분리정제)공정 중 발생된 오염원 특성 및 처리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상업적으로 중요한 희토류광물은 이온흡착광, 탄산염계열의 바스트네사이트 및 인산염계열의 모나자이트이다. 이온흡착광의 선광공정은 황산암모늄을 이용한 용출 및 1,000에서 하소 과정이며, 바스트네사이트와 모나자이트의 선광공정은 파쇄/분쇄, 비중/자력선별 및 부유선별과정이다. 또한 분해침출/분리정제 공정은 산/알칼리 분해침출, P507( $C_{16}H_{35}O_3P$ )/옥살산( $H_2C_2O_4$ )을 이용한 분리정제 및 탄산화와 하소과정을 통한 정제과정이었다. 이 중 선광공정에서 발생한 오염원은 중금속, 불소, 황산염, 비소 및 방사성물질을 함유하는 광미이며, 분해침출/분리정제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원은 유해가스 (HF, $NO_x$ , $SO_x$ , CO)와 방사성 광물찌꺼기, 그리고 중금속, 불소, 암모늄, 방사성물질(Th, U), 유기물 등을 함유하는 폐수이다. 유해가스는 산/알칼리 흡수탑을 이용하여 처리하며, 방사성 광물찌꺼기는 건조 후 밀폐보관하고, 폐수처리공정은 중금속, 불소 및 방사성물질의 경우 화학적 침전, 암모늄이온의 경우 stripping, struvite 침전, 그리고 유기물은 산화공정으로 처리한다. 보다 경제적이고 운영이 용이한 처리기술로 입상 알칼리제를 활용한 화학적 침전과 미량의 방사성물질 제거를 위한 입상 광산배수 슬러지 흡착공정을 제안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33365133623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이온흡착광상,바스트네사이트광상,모나자이트광상,선광,분해/분리,광물찌꺼기,방사성함유 폐수,Rare earth,Ion adsorption deposit,Bastnasite deposit,Monazite deposit,Dressing,Decomposition/Purification,Radioactive Tailings,Waste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