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이 경험하는 구취증상과 스트레스 및 심리상태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0 한국청소년건강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였고 연구대상자는 중 고등학생 3,689명(남학생 1,805명, 여학생 1,884명)이었다. 단변량 분석에서 확인된 구취와 관련된 요인은 경로모형에서 통제변수로 설정하여 투입하였고, 구취증상과 스트레스, 그리고 우울감, 불안, 긴장, 적대감으로 측정된 심리상태와의 관계와 그 경로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구취증상 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27.4% 이었고, 경로모형을 검증한 결과에서는 구취증상 ${ rightarrow}$ 스트레스( ${ beta}=0.083$ , P ${ rightarrow}$ 우울( ${ beta}=0.067$ , P ${ rightarrow}$ 불안( ${ beta}=0.072$ , P ${ rightarrow}$ 긴장( ${ beta}=0.072$ , P ${ rightarrow}$ 적대감( ${ beta}=01.074$ , 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