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DC-SIGN and the growth of colon cancer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命科學 = Chinese bulletin of Life sciences
ISSN 1004-037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NG, Zhang-fu,JIANG, Yan-mei,JIANG, Xu-dong,DING, Dong-bing,ZUO, Yun-fe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DC-SIGN은 수지상 세포(dendritic cell, DC) 표면에서 특이적으로 표현되거나 림프동(lymphatic sinus) 안쪽 대식세포 표면에서 부분적으로 표현되는 II형 막관통 단백질이다. DC-SIGN의 탄수화물 인식 도메인(carbohydrate recognition domain, CRD)은 정상적인 결장세포가 악성으로 전환하는 과정에 동반되는 세포 표면 분자 암배아성 항원의 비정상적 글리코실화에 의해 생성되는 루이스 당(Lewis glycans)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기능이 있다. 성숙되지 않은 DC 세포는 종양조직 안에서 결장암 세포와 상호작용하는 반면, 성숙된 DC 세포는 종양조직 밖에 존재한다. 이는 DC 세포가 결장암 세포와 결합하면서 DC 세포의 기능 및 분화를 약화시켰을 것으로 추정되며, 그 기전으로 보았을 때 단핵세포에서 기원된 DC 세포가 DC-SIGN을 통하여 결장암 관련 루이스 다당과 결합한 다음 DC 세포의 성숙과 관련되는 TLR이 유도하는 신호 전달을 간섭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성숙되지 않은 DC 세포가 아닌 성숙된 DC 세포는 T세포가 종양에 대한 후천성 면역반응을 활성화 할 수 있다. 병원체가 표적으로 하는 DC-SIGN가 면역감시를 피하듯이 종양세포도 DC-SIGN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DC 세포의 기능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결장암의 생장을 활성화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DC-SIGN와 결장암 세포 루이스 다당의 결합에 의해 발생되는 생화학 변화 및 회피적 면역반응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결장암 및 기타 CEA 비정상 표현에서 유발되는 종양 생장 그리고 종양의 예방과 치료에 새로운 이론적 근거 뿐만 아니라 치료 방법을 제시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598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DC-SIGN,colon cancer,Lewis glycans,CEA,molecular mechanism,DC-SIGN,결장암,루이스 당,암배아성 항원,분자 메커니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