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iquitous Presence and Activity of Thiosulfate Oxidizing Bacteria in Rhizosphere of Economically Important Crop Plants of Korea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ISSN | 0367-6315, |
ISBN |
저자(한글) | Yim, Woo-Jong,Anandham, R.,Gandhi, P. Indira,Hong, In-Soo,Islam, M.R.,Trivedi, P.,Madhaiyan, M.,Han, Gwang-Hyun,Sa, Tong-Min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08-01-01 |
초록 | 식물에 필수영양소인 황은 대부분 sulfate의 형태로 식물이 흡수하며, thiosulfate 형태로는 영양소로서 흡수하지 못한다. 황산화세균은 이러한 thiosulfate를 산화시켜 sulfate로 만들어 준다. 국내 토양에서 황산화세균의 분포를 조사하기 위하여 경제적으로 중요성을 갖는 19가지 작물의 근권에서 토양을 채취하였다. 항산화세균은 조사한 모든 작물의 근권에서 존재하였으며, 황산화능이 우수한 32가지의 황산화세균을 분리하였다. 또한 분리 균주의 생화학적 특징을 검토한 결과 32종 중 56%가 필수 화학합성자가영양생물이었으며, 44%가 기생 종속영양생물이었다. 분리 균주 ATSR15P는 배양과정에서 19.2 mM의 thiosulfate를 사용하였고, 11.7 mM의 sulfate를 축적하였다. 또한 ATSR15P 배양 과정 중 배지의 pH가 6.5에서 3.1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황산화세균에 의 한 황의 산화가 국내 작물의 근권에서 포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0828066505005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Facultative heterotrophs,Obligate chemolithoautotrophs,Rhizosphere,Thiosulfate oxidizing bacteri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