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미국 NCBI 데이터베이스 중의 신속 알칼리화 인자(rapid alkalinization factor, RALF) 유전자 서열에 관한 정보에 따라 유채(Brssica napus)의 RALF 유전자 RALFbn을 복제하였으며 그 핵산 서열과 예측 단백질에 대하여 생물학적 분석을 진행한 후, 유채의 다양한 조직 내에서의 발현 현상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1) 복제하여 얻은 유채 RALFbn 유전자의 cDNA 서열 전체 길이는 510bp이며 인트론(intron)은 없었고 79개의 아미노산을 코딩하였다. (2) 생물학적 분석 결과, 유채 RALFbn 단백질은 RALF 유형의 단백질 보수 영역 'YIXY'와 4개의 보수적 시스테인 잔기(Cysteine residues)를 갖고 있었으며, N-미리스토일화 사이트(N-myristoylation site), 타이로신 키나아제 II 인산화 사이트(tyrosine kinaseⅡ phosphorylation site), 단백질 키나아제 C 인산화 사이트(protein kinase C phosphorylation site)와 타이로신 키나아제 인산화 사이트(tyrosine kinase phosphorylation site) 등 여러개의 생물활성 사이트를 포함하고 있었는데 이는 해당 단백질이 유채 중에 잠재하여 있는 생리 조절 능력이 비교적 활발하다는 것을 설명한다. (3) RT-PCR로 검측한 유채의 생식 기관에서 RALFbn 유전자의 발현 결과, RALFbn은 주로 유채의 수술(stamen)에서 발현하며 암술(pistil)과 꽃잎, 꽃받침에서는 발현하지 않았다. 이는 RALFbn 유전자는 유채의 수술 내 꽃가루 발육과 관련된다는 것을 설명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