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논문은 중국 산시성(Shanxi) 양가오현(Yanggao County)의 대형 지표 유출(runoff) 관측 기지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토양의 물리적 조성(physical composition), 공극률(porosity), 모세관 공극률(capillary porosity), 유기물질(organic matter), 총 질소(total nitrogen), 알칼리 분해성 질소(alkali-hydrolysis nitrogen), 유효 인(available phosphorus) 및 유효 칼륨(available potassium) 등 8가지 토양 특성을 나타내는 특이적 인자를 선택하여 평가 지표로 설정하였으며, 또한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이용하여 나지(bare land), 황무지(wasteland), Caragana korshinskii 식생 피복 지역, 산자나무(Hippophae rhamnoides) 식생 피복 지역, 잣나무(Pinus tabuliformis) 식생 피복 지역 및 자주개자리(Medicago sativa) 식생 피복 지역 등 6가지 지역의 토양 품질(soil quality)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8가지 물리화학적 성질 지표를 토양 유기 물질 인자, 토양 품질 인자 및 토양 공극률 인자 등 3가지 인자로 종합할 수 있었다. Caragana korshinskii, 산자나무, 잣나무, 자주개자리 등 4가지 인공 식생으로 피복된 토양의 유기 물질 인자와 토양 공극률 인자는 모두 황무지보다 높았으며, 자주개자리 식생으로 피복된 토양을 제외하고 기타 3가지 인공 식생으로 피복된 토양의 품질은 황무지보다 우수하였다. 그러나 나지 토양의 3가지 공동 인자 수준은 모두 제일 낮았으며, 자주개자리 피복 토양, Caragana korshinskii 피복 토양, 산자나무 피복 토양, 잣나무 피복 토양, 황무지, 나지의 토양 품질 종합 지수는 각각 0.596, 0.584, 0.495, 0.481, 0.305 및 0.194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주개자리, Caragana korshinskii, 산자나무 및 잣나무 4가지 인공 식생은 토양 품질 개선을 추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그 가운데서 자주개자리 및 Caragana korshinskii의 토양 품질 개선 추진 효과는 더욱 뚜렷하였다. 나지는 토양 품질을 퇴화시키는 작용을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