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il NH4+-N and NO3--N distribution of different vegetation types in water conservation forests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生態學雜志 = Chinese journal of ecology |
ISSN | 1000-4890, |
ISBN |
저자(한글) | GAO, Hong-cui,FAN, Zhi-ping,LI, Fa-yun,LI, Hai-yan,XU, Ying-hua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본 논문은 중국 랴오닝(Liaoning) 동쪽 산 지역의 수원?양림(water conservation forests)에서 고로쇠나무-산갈나무림(Acer mono-Quercus mongolica forest), 사시나무림(Populus davidiana forest), 자작나무-사시나무림(Betula platyphylla-P. davidiana forest) 및 낙엽송 인공림(Larix kaempferi plantation) 등 4가지 식생 유형(vegetation type)을 선택하여 토양의 암모니아성 질소(ammonia nitrogen, NH 4 + -N), 질산성 질소(nitric nitrogen, NO 3 - -N), pH값, 용적 밀도(bulk density), 유기 탄소(organic carbon) 및 총 질소(total nitrogen) 등 물리화학적 지표를 측정하였으며, 또한 식생 유형, 토양층(soil layer)에서 토양 무기성 질소(soil inorganic nitrogen)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4가지 식생 유형 토양에서 NH 4 + -N, NO 3 - -N는 토양 표면층(0~5cm)에서 함량이 제일 높았고, 토양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점차 감소되었다. 그리고 토양 총 무기성 질소 함량 크기 순서는 낙엽송 인공림(27.46mg/kg) gt; 사시나무림(21.76mg/kg) gt; 고로쇠나무-산갈나무림(19.09mg/kg) gt; 자작나무-사시나무림(17.88mg/kg)이었으며, 활엽수림에서 NH 4 + -N는 주로 토양 무기성 질소 형식으로 존재하였고, 낙엽송 인공림 토양에서 NO 3 - -N가 차지하는 비율이 비교적 높았으며, 또한 수원?양림 토양에서 NH 4 + -N, NO 3 - -N는 토양 유기물(soil organic matter), 토양 수분 함량(soil moisture content)과 아주 뚜렷한 정적(+) 상관관계였다(P 전면적으로 분석한 결과, 식생 유형은 토양 무기성 질소 분포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국 랴오닝 동쪽 산 지역의 수원?양림 식생 유형 선택 및 구조 조절에 참고적 가치를 제공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05923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vegetation type,soil layer,NH lt,sub gt,4 lt,/sub gt,lt,sup gt,+ lt,/sup gt,-N,NO lt,sub gt,3 lt,/sub gt,lt,sup gt,- lt,/sup gt,-N,식생 유형,토양층,암모니아성 질소,질산성 질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