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Dynamic and correlation study on culturable bacteria and physicochemical indexes in the environment of Apostichopus japonicus culture pond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與環境生物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and environmental biology
ISSN 1006-687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 Qiu-fen,JIANG, Wei-wei,LIU, Huai-de,LI, Xiao-long,SONG, Xian-li,WANG, Xiao-hong,QIU, Zhao-x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해삼(Apostichopus japonicus) 인공 양식업이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해삼의 병해는 날마다 현저하게 나타난다. 양식환경의 미생물 및 물리화학적 매개변수는 양식 생태계의 주요한 구성 부분이며 그 변화 패턴 및 상관성 연구는 해삼의 병해 예방퇴치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2012년 4월에서 2013년 4월 사이에 산둥성(Shandong Province) 지모시(Jimo city) 해삼 양식못 수체의 4가지 배양 가능한 세균(총 종속영양세균, 비브리오균, 질화세균, 황화세균), 4가지 물리화학적 매개변수(온도, pH, 염도, 용존산소) 그리고 퇴적환경의 6종 배양 가능한 세균(총 종속영양세균, 비브리오균, 질화세균, 질산환원균, 황화세균, 황산염환원균), 6가지 물리화학적 매개변수(온도, pH, 산화환원 전위, 황화물, 유기탄소, 총 질소)의 동적 변화를 각각 모니터링하였고 각 세균 집단의 수량과 퇴적물 5가지 물리화학 지표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물속 대부분 세균 집단의 연내 변화를 보았을 때 여름철에 높아지고 겨울철에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고 이는 온도 변화 추세와 거의 일치하였다. 비브리오균의 변화폭은 종속영양세균에 비해 컸고 질화세균은 황화세균에 비해 한 차계(one order) 높았지만 변화 추세는 일치하였다. 수체 pH 및 용존산소는 여름철 고온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하였고 온도 변화 추세와 정반대였다. 퇴적물의 종속영양세균 수량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고 비브리오균 수량은 여름철과 겨울철에 두개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질소 순환 관련 세균의 수량은 유황 순환 관련 세균보다 많았다. 상관성 분석 결과, 해삼 양식못 퇴적물의 pH는 산화환원 전위와 뚜렷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P 황화물 함량은 총 종속영양세균, 황산염환원균, 질화세균과 뚜렷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P 또한 각 세균 수량 사이에 어느 정도의 상관성이 존재하였다. 종속영양세균과 질화세균 및 황산염환원균 사이, 질화세균과 황산염환원균 사이에 뚜렷한 정적(+) 상관성이 존재하였고(P 본 연구를 통해 해삼 양식못 환경의 여러 가지 물리화학적 매개변수와 세균 수량 사이의 상관성은 뚜렷하며 서로 간의 관계가 복잡하다는 것을 밝혔고 해삼 병해 예방퇴치에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068949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postichopus japonicus culture ponds,sulfide,vibrios,correlation analysis,해삼 양식못,황화물,비브리오균,상관성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