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AN, Yu,MENG, Jun,YANG, Xu,JIANG, Lin-lin,LIU, Zun-qi,LIU, Sai-nan,CHEN, Wen-fu |
초록 |
현장 실험을 통하여, 정적 챔버-가스 크로마토그래피(static chamber-gas chromatography)로 농작물 대를 탄화시킨 후 밭에 내는 방식과 직접 밭에 내는 방식이 갈색 밭토양의 N 2 O 방출과 관련 토양 물리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실험은 화학비료만 시용하는 방법(대조 CK), 화학비료+옥수수대를 직접 밭에 내는 방법(CS), 화학비료+옥수수대를 탄화시킨 후 밭에 내는 방법(BC) 등 3가지 처리를 설정하였으며, 각 처리는 모두 같은 양의 화학비료를 시용하였다. 연구 결과, (1) 각 처리군의 토양 N 2 O 방출량은 뚜렷한 차이가 있었으며, CK gt;CS gt;BC 순이었다. BC와 CS 처리군은 CK 처리군에 비해 각각 38.9%, 24.0% 감소하였다. (2)BC 처리군의 N 2 O 방출 강도는 뚜렷하게 감소하였으며, 각각 CS, CK 처리군에 비해 35.0%, 39.2% 감소하였으나, CS과 CK 처리군의 N 2 O 방출 강도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3) CS와 BC 처리는 모두 토양 용적 중량과 암모니아 산화 잠재력을 뚜렷하게 감소시켰으며, 토양 pH, 유효 칼륨과 유기탄소 함량을 증가시켰다. (4) 상관 분석 결과, N 2 O 방출량은 토양 온도, 토양 용적 중량 및 암모니아 산화 잠재력과 뚜렷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토양 pH, 질산성 질소 및 토양 유기탄소 함량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