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2011년 7월 잔장 둥하이섬 조간대(intertidal flat) 표층 퇴적물(surface sediments)의 입도와 퇴적 환경 요인을 조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둥하이섬 조간대의 표층 침적물을 모래, 실트질 모래(Silty sand), 사질 실트(sandy silt), 점토질 모래 등 4개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그중에서 모래와 실트질 모래가 둥하이섬 조간대 퇴적물의 주요 유형이다. 진장만 심해저(Ⅰ심해저), 룽하이톈 심해저(Ⅱ 심해저), 레이저우완 심해저(Ⅲ 심해저) 등 3개 심해저의 주요 퇴적 유형이 모래이고 퉁밍하이 심해저(Ⅳ 심해저)의 주요 퇴적 유형이 실트질 모래였다. 둥하이섬 각 심해저의 조간대에서 표층 퇴적물의 평균 입경이 0.023~0.342mm(1.55~5.46φ)이며 평균값이 0.092mm(3.45φ)이다. 각 조간대의 퇴적물 입자 크기는 전반적으로 고 조간대(high tidal zone) gt;중 조간대(medium tidal zone) gt;저 조간대(low tidal zone) 순서를 나타내며, 둥하이섬 남쪽과 북쪽 측면을 따라 서쪽에서 동쪽으로 가면서 증가한다. 둥하이섬 룽하이 조간대의 표층 퇴적물 분급 정도는 중간 정도와 낮은 정도 사이에 있으며 부(-) 편포(Negative skewness)부터 정(+) 편포까지의 대부분 유형을 포함하였다. 피크 상태는 대부분 평판형(Flat type)과 샤프형(Sharp type)이었다. 둥하이섬 각 심해저 조간대의 표층 퇴적물 유형 및 입도 분포의 특징은 조간류(longshore current) 동역 환경 차이의 직접적인 체현으로서, 퇴적 지역의 물리 화학적 성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입자가 큰 퇴적 지역에서 pH와 C Fe 3+ /C Fe 2 + 이 비교적 높고, 유기물과 황화물(Sulfide) 함량이 비교적 낮다. 그러나 퇴적 입자의 크기가 비교적 작은 지역에서는 각 환경 요인의 변화 규칙이 정반대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