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Grain size distribution of surface environmental factors in intertidal sediments and its correlation with flat of Donghai Island, Zhanjiang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海洋學學報 = Journal of applied oceanography
ISSN 2095-497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NG, Ji-biao,YAO, Jian-hui,CHEN, Chun-liang,SUN, Sheng-l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2011년 7월 잔장 둥하이섬 조간대(intertidal flat) 표층 퇴적물(surface sediments)의 입도와 퇴적 환경 요인을 조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둥하이섬 조간대의 표층 침적물을 모래, 실트질 모래(Silty sand), 사질 실트(sandy silt), 점토질 모래 등 4개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그중에서 모래와 실트질 모래가 둥하이섬 조간대 퇴적물의 주요 유형이다. 진장만 심해저(Ⅰ심해저), 룽하이톈 심해저(Ⅱ 심해저), 레이저우완 심해저(Ⅲ 심해저) 등 3개 심해저의 주요 퇴적 유형이 모래이고 퉁밍하이 심해저(Ⅳ 심해저)의 주요 퇴적 유형이 실트질 모래였다. 둥하이섬 각 심해저의 조간대에서 표층 퇴적물의 평균 입경이 0.023~0.342mm(1.55~5.46φ)이며 평균값이 0.092mm(3.45φ)이다. 각 조간대의 퇴적물 입자 크기는 전반적으로 고 조간대(high tidal zone) gt;중 조간대(medium tidal zone) gt;저 조간대(low tidal zone) 순서를 나타내며, 둥하이섬 남쪽과 북쪽 측면을 따라 서쪽에서 동쪽으로 가면서 증가한다. 둥하이섬 룽하이 조간대의 표층 퇴적물 분급 정도는 중간 정도와 낮은 정도 사이에 있으며 부(-) 편포(Negative skewness)부터 정(+) 편포까지의 대부분 유형을 포함하였다. 피크 상태는 대부분 평판형(Flat type)과 샤프형(Sharp type)이었다. 둥하이섬 각 심해저 조간대의 표층 퇴적물 유형 및 입도 분포의 특징은 조간류(longshore current) 동역 환경 차이의 직접적인 체현으로서, 퇴적 지역의 물리 화학적 성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입자가 큰 퇴적 지역에서 pH와 C Fe 3+ /C Fe 2 + 이 비교적 높고, 유기물과 황화물(Sulfide) 함량이 비교적 낮다. 그러나 퇴적 입자의 크기가 비교적 작은 지역에서는 각 환경 요인의 변화 규칙이 정반대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465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arine chemistry,grain size distribution,environmental factors,surface sediments,intertidal flat,Donghai Island,해양화학,입도 분포,환경 요인,표면 퇴적물,조간대,둥하이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