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WU, Shou-guo,YU, Xue-jun,LI, Kai,JIANG, Yu-jian,ZHANG, Ru-min |
초록 |
연해 방호림은 해안 생태계에서 가장 기본적인 생물 자원이다. 연해 지역은 지하 수위가 높고 토양 염분함량이 높으며 비옥도가 낮고 생태환경이 열악한 등의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우량 식물 종 선택은 연해 우량 방호림 체계 건설을 가속화하는 핵심이다. 중국 대나무(Bambusa oldhamii)의 내염성을 탐구하고 연해지역 방호림의 우량 식물 종을 선택하기 위하여 2년생 중국 대나무를 소재로 수경재배법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농도의 해염 처리를 하고 Unispec-SC형 단일통로 광섬유분광기와 비변조식 엽록소형광측정기를 이용하여 중국 대나무 잎의 반사 스펙트럼과 엽록소형광 매개변수 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해염 농도가 1.2% 이하일 때, 중국 대나무 잎의 엽록소a 함량, 엽록소b 함량, 카로티노이드(carotenoid) 함량 및 반사 스텍트럼 매개변수는 대조 그룹과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해염 농도가 1.6% 이상일 때, 엽록소a, 엽록소b 및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대조 그룹보다 각각 63.2%, 62.8% 및 47.2% 감소하였다(P red )와 적색 가장자리 면적(red area, S red )은 대조 그룹보다 현저히 감소하였다(P 1.2% 농도의 해염 처리에서, 적색 가장자리 정규화 지수(rNDVI), 녹색 정규화 지수(gNDVI), 카로티노이드 반사지수2(CRI 700 ) 및 광화학 반사지수(PRI)는 현저히 감소하였으며(P 700 ), 카로티노이드 반사지수1(CRI 550 ), CRI 700 및 PRI 등 매개변수는 대조 그룹보다 각각 42.4%, 43.9%, 32.6%, 21.5%, 47.2%, 49.9% 및 58.5% 감소하였다. 중국 대나무 잎의 PSⅡ 최대양자수율(F v /F m ), 전자전달 양자수율(ΦE o ), 단위반응센터가 포획한 전자전달에 사용하는 에너지(ET o /RC), 단위면적 반응센터의 수량(RC/CS) 및 잎 성능 지수(PI ABS ) 등 매개변수는 1.6% 해염 처리 그룹이 대조 그룹보다 각각 50.8%, 28.6%, 21.7%, 52.1% 및 92.3% 감소하였고 단위반응센터 복합체가 흡수한 에너지(ABS/RC)는 대조 그룹보다 96.9% 향상하였다. 이는 중국 대나무가 일정한 내염성을 가진다는 것을 설명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