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REN, Jie,WANG, Hui-mei,WANG, Wen-jie,QU, Dan,WANG, Qiong,ZHONG, Zhao-liang |
초록 |
엽편과 나무껍질 엽록조직은 포플러의 2가지 중요한 광합성 조직이며, 온도 상승에 대한 그 광합성 특성의 반응을 분석하여 이 식물이 기후 온난화 과정에 적응하는 광합성 생리 변화를 전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3개 온도 기울기(낮 온도/야간 온도) 23℃/18℃, 28℃/23℃, 33℃/28℃를 설정하였으며, 각각 광합성 작용, 엽록소 형광 특성 등 분야로부터 포플러(Populus alba×Populus berolinensis) 엽편과 나무껍질 엽록조직이 온도 상승에 대한 반응 및 양자에 존재하는 차이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온도 상승에 따라 나무껍질 엽록조직과 엽편 내 엽록소 함량은 뚜렷한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나무껍질 엽록조직의 엽록소 a/b값은 온도 상승에 따라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온도 상승은 엽편과 나무껍질 엽록조직의 광합성 작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엽편의 순광합성속도(P n ), 광합성 효율(P E ), 엽편 기공전도도(G s ) 및 증산속도(T r )는 온도 상승에 따라 뚜렷하게 강화되었으나 수분이용효율(WUE)은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나무껍질 엽록조직의 순광합성속도와 광합성 효율은 엽편과 일치한 반응을 갖고 있었으며, 온도 상승에 따라 뚜렷하게 강화되었으나 기타 광합성 기체 교환지표는 뚜렷한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다. 엽편과 나무껍질 엽록조직의 엽록소 형광 파라미터는 온도 상승에 대한 반응이 기본적으로 일치하였으며, 33℃ 처리 조건에서 광계Ⅱ 실제광화학효율(Φ PSⅡ ), 광화학적 소멸(qP), 전자전달속도(ETR) 및 비광화학적 소멸(NPQ)은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양자의 광계Ⅱ 최대형광효율(F v /F m )은 온도 상승에 따라 감소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기공요소는 포플러 나무껍질 엽록조직과 엽편의 P n 을 온도 상승에 따라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