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Influence of dehydration and rehydration on photosynthetic chlorophyll characteristics and reactive oxygen species metabolism in Dolichomitriopsis diversiformi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報 = Acta ecologica sinica
ISSN 1000-093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DU, Xiao-meng,LI, Jing,TIAN, Xiang-rong,LI, Chao-yang,LI, Hu-m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본 논문은 광분포 습생 선류―아기들덩굴초롱이끼(plagiomnium acutum)를 비교재료로 하여 서로 다른 고속 탈수와 재수화 스트레스 조건에서 동아시아 특유한 멸종위기식물 D. diversiformis PS II의 엽록소 광합성 형광변화와 활성 산소 대사 및 항산화 시스템 변화를 연구하였다. 또한, 2가지 선류의 생리생태 적응성 차이의 형성원인을 탐구하였으며 수분 조건 제한에서 D. diversiformis가 분포가 적고 멸종위기에 처해있는 원인을 일차적으로 확정하였다. 그 결과, (1) D. diversiformis의 광합성 전자전달은 탈수 후 아주 약한 광선에도 완전히 억제될 수 있으며 그 빛의 세기 억제의 회복은 아기들덩굴초롱이끼보다 뚜렷이 늦다; D. diversiformis의 PS II 최대 광화학 효과(Fv/Fm)와 실제 광화학 양자 효과(YII)는 먼저 낮아지고 후에 높아지며 회복이 비교적 늦다; 광화학 급랭(qP)은 재수화 후 회복이 비교적 빠르며 비광화학 급랭(NPQ)의 절댓값과 변화속도는 시종 아기들덩굴초롱이끼보다 낮다. (2) D. diversiformis의 활성 산소 수준은 아기들덩굴초롱이끼보다 뚜렷이 높고 그 SOD, CAT, APX 등 항산화 시스템은 효소 활성의 전체적인 변화 폭이 비교적 크며 항산화 보호물질(AsA) 함량은 아기들덩굴초롱이끼보다 뚜렷이 낮다. 이로부터 D. diversiformis가 환경 수분 인자 제한을 받는 주요 원인은 (1) PS II의 반응중심 색소(P680)가 탈수 손상에 비교적 민감하기 때문이다; (2) 재수화 복구 과정에서 항산화 보호시스템의 보호기능이 약화되었기 때문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614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Dolichomitriopsis diversiformis,Plagiomnium acutum,ecological adaptation,dehydration and rehydration,PSⅡ photosynthetic chlorophyll,oxygen metabolism,Dolichomitriopsis diversiformis,방기 종(plagiomnium acutum),생태 적응성,탈수와 재수화,PS II 광합성 형광,산소 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