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he studying of key ecological factors and threshold of landscape evolution in Yancheng Coastal wetland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報 = Acta ecologica sinica
ISSN 1000-093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NG, Hua-bing,LIU, Hong-yu,LI, Yu-feng,TAN, Qing-mei,HOU, Ming-ha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본 논문은 중국 옌청(Yancheng) 빈하이 습지(coastal wetland)의 전형적인 지역을 사례로, 2011년 4월과 2012년 4월에 빈하이 습지 토양 데이터를 기초로, 2011년 ETM+ 원격센서 영상과 결합하고 또 회색관련분석, 선형회귀 시뮬레이션과 지구통계학 방법을 이용하여 빈하이 습지 경관 진화의 핵심적 생태인자를 식별하였으며 또 그 생태적 역치를 확정하였다. 분석결과, (1) 빈하이 습지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은 해양과 육지에서 현저한 차이가 나타났다. 호화미초 소택지(Spartina marsh)-Suaeda salsa 소택지-갈대 소택지의 순서로 토양 수분과 염도에서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토양 유기물질, 영양염은 전반적으로 호화미초 소택지-Suaeda salsa 소택지-갈대 소택지의 순서로 양쪽이 높고 중간이 낮은 특성을 나타냈다. 습윤년의 토양 수분은 건조년보다 높았으며, 습윤년의 토양 염도는 건조년보다 낮았다. (2) 회색관련분석결과, 건조년은 수분 gt;염도 gt;암모니아성 질소 gt;유효칼륨 gt;유기물질 gt;유효인의 순서로 나타났다. 습윤년은 염도 gt;수분 gt;유효인 gt;암모니아성 질소 gt;유효칼륨 gt;유기물질의 순서로 나타났다. 따라서 토양 수분과 염도를 빈하이 습지 경관 진화의 핵심적 생태인자로 확정하였다. (3) 토양 수분과 염도는 동서 해륙 방향에서 변이가 남북 해안 확장 방향에서 변이보다 컸다. (4) 경관 유형도와 빈하이 습지의 토양 수분 및 염도 분별도를 중첩시켜 분석한 결과: 갈대 소택지의 토양 수분 역치 lt;42.332%, 염도 역치 lt;0.745%였다. Suaeda salsa 소택지의 토양 수분 역치는 38.836%-46.593%, 염도 역치는 0.403%-1.314%였다. 호화미초 소택지의 토양 수분 역치 gt;39.475%, 염도 역치 gt;0.403%이다. 광학적 평면(optical flat)의 토양 역치 gt;41.550%, 염도 역치 gt;0.656%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778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oastal wetland,key ecological factors,threshold,Yancheng,빈하이 습지,핵심적 생태인자,역치,옌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