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CHI, Shuang,LIU, Hai-jun,LIU, Ran,ZHAO, Zhen-jun,MA, Jia-hao,CUI, Long-bo |
초록 |
해삼 양식 못(Culture ponds of Apostichopus japonicus) 퇴적물의 6항목 물리 화학적 지표((Physicochemical indices))와 8유형의 세균 수량을 검사하여 산둥성 라이주 해삼 양식 못의 퇴적물 연간 변화를 연구하였다. 실험 결과, 퇴적물의 pH값과 산화 환원전위(redox potential) 변화 추세는 같았으며, 변화 범위가 각각 (7.15±0.40)~(7.80±0.21)와 (42.8±85.5)~(-351.0±61.5)mV였다. 황 화물(sulfide)의 변화 추세는 pH값 및 산화 환원전위의 변화 추세와 정 반대였으며, 해당 함량의 변화 범위가 (47.66±47.01)~(496.12±418.57)μg/g(건조 중량)이었다. 총 질소, 총 인(phosphorus) 및 유기탄소 함량의 변화 범위는 각각 (457.42±103.40)~(865.83±187.85), (166.83±17.12)~(241.32±27.21)μg/g 및 0.27%±0.08%~0.37%±0.10%였다. 종속영양 세균(Heterotrophic bacteria), 비브리오균(bacteria vibrio)과 바실루스균(bacillus)의 수량 변화 범위는 각각 (3.27±5.55)× 10 5 ~(6.41±8.48)×10 6 , (5.39±4.32)×10 3 ~(1.62±2.01)×10 5 및 (1.31±1.57)×10 4 ~(7.57±1.66) ×10 4 CFU/g이었다. 암모니아화 세균(Ammonifying bacteria), 탈질소 세균(Denitrifying bacteria)과 아질산균(Ammonia-oxidizing bacteria)의 수량 범위는 각각 (6.80±1.16)× 10 5 ~(1.31±1.64)×10 7 ?/g, (2.67±2.48)×10 3 ~(5.11±5.88)×10 4 ?/g 및 (8.08±8.99)×10~(1.45±1.73)×10 3 ?/g이었으며, 암모니아화 세균과 탈질소 세균의 연간 변화 추세는 서로 같았다. 황 환원 세균(sulphur-reducing bacteria)과 황 산화 세균9sulphur-oxidizing bacteria) 수량의 변화 범위는 각각 (5.62±5.53)× 10 2 ~(7.22±5.52)× 10 4 ?/g 및 (6.50±5.17)× 10 1 ~(1.00±1.16)×10 4 ?/g이었으며 두 가지 세균 수량의 연간 변화 추세는 서로 정 반대였다. 연구 결과, 퇴적물의 산화 환원전위는 황 산화 세균 수량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P lt;0.05), 황 화물(sulfide) 함량은 바실루스균, 탈질소 세균, 암모니아 세균 및 황 환원 세균의 수량과 매우 뚜렷한 정적(+) 상관성을 나타냈다(P lt;0.01). 그리고 유기탄소 함량과 황 환원 세균의 수량은 뚜렷한 정적(+) 상관성을 나타냈다(P lt;0.05). 해삼 양식 못 퇴적물의 다양한 물리 화학적 지표와 세균 수량 사이의 상관성은 분명했으며 관계가 복잡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