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 of wheat plant volatiles on aphids and associated predator behavior: selection of efficient infochemicals for field study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昆蟲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ISSN 2095-135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JIE, Hai-cui,Delphine, Durieux#,FAN, Jia,LIU, Yong,Claude, Bragard#,Eric, Haubruge#,SUN, Jing-rui,Fr?d?ric, Francis,CHEN, Ju-lia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목적] 식물 휘발성 정보화합물은 식식성 곤충(초식성 곤충, Herbivorous insects) 및 기타 천적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식물-식식성 곤충-천적의 상호작용 시스템에서 중요한 지위를 갖고 있다. 현재, 밀[Triticum aestivum L.(Gramineae)]에 있는 여러 휘발물질은 이미 감정되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밀 휘발물질이 진딧물 및 그 천적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정하는 것이다. [방법] 본 실험은 4팔이 달린 후각계(four-armed olfactometer)와 풍동을 이용하여 4가지 서로 다른 농도의 밀 휘발물질[살리실산메틸(methyl salicylate), cis-3-hexenyl acetate, 헥세놀(hexenol), 1-헥세놀]이 밀 진딧물[Sitobion avenae(Fabricus)] 및 그 두 중요한 천적{무당벌레[Harmonia axyridis(Pallas)(Coleoptera:Coccinellidae)]와 꽃등에[Episyrphus balteatus(De Geer)(Diptera:Syrphidae)]}의 행동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였다. [결과] 살리실산메틸은 무당벌레만 흡인하였다. cis-3-hexenyl acetate와 헥세놀은 밀 진딧물 및 무당벌레를 흡인하였으나, 그 농도가 증가함에 다라 진딧물에 대한 흡인 작용은 감소하였고, 무당벌레에 대한 흡인 작용은 증가하였다. cis-3-hexenyl acetate는 꽃등에에도 흡인작용을 하였다. 이 외, 천적과 비교할 때, 1-헥세놀이 밀 진딧물에 대한 흡인 작용은 더 강하였다. [결론] 결과적으로, 1-헥세놀을 제외한 외, 살리실산메틸, cis-3-hexenyl acetate, 헥세놀은 천적을 흡인하고 진딧물을 제어하며, 푸시풀(Push pull) 전략에 잠재적으로 응용되는 휘발성 화학정보물질이라는 것을 확정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116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wheat,volatiles,infochemicals,aphid,predator,behaviour,밀,휘발물질,진딧물,천적,행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