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Demographic and quantitative food web analysis of Sitobion avenae and its natural enemie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昆蟲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ISSN 2095-135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CHI, Bao-jie,ZHU, Ying-fei,Axel, Vandereycken#,CHEN, Ju-lian,LIU, Y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목적] 보리수염진딧물(Sitobion avenae)은 중국 겨울밀 생산지역의 주요 해충이다. 밀-유채 간작과 밀-마늘 간작의 논밭에서 보리수염진딧물 및 그 천적의 개체군 발생 동태를 명확히 하고자, 밀밭 천적 자원의 지속 가능 이용과 밀 해충의 생태학적 제어에 근거를 제공한다. [방법] 본 논문은 서로 다른 간작 방법에서, 보리수염진딧물 및 그 주요 자연 천적의 개체군 발생 특징을 연구하였으며, 또 양적 먹이그물 분석(quantitative food web analysis) 방법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영양 단계의 상호작용 관계를 묘사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조사기간 내에, 밀-유채 간작 밭과 밀-마늘 간작 밭에서 보리수염진딧물 무시(날개가 없는)충의 개체군 밀도는 밀 등숙기에서 단일 재배밭에 비해 뚜렷하게 낮았다. 밀-유채 간작 밭에 비교적 높은 무당벌레 개체군 밀도가 있었으며, 기생벌의 개체군 밀도는 밀 출수 개화기에서 단일 재배밭과 밀-마늘 간작 밭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다. 밀-마늘 간작 밭의 유시진딧물의 개체군 수는 단일재배밭과 밀-유채 간작 밭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으며, 무당벌레와 싸리진딧벌(Aphidius gifuensis Ashmead)의 개체군 수 변동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양적 먹이그물 분석 결과, 풀잠자리류(Chrysopidae)와 꽃등에무리(Syrphidae)를 제외한 외, 기타 동일한 종류의 천적 개체군이 3가지 간작 방법에서 보리수염진딧물에 대한 제어 기여도 차이가 크지 않았다. [결론] 밀-유채 간작과 밀-마늘 간작은 보리수염진딧물 주요 천적의 개체군 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보리수염진딧물에 의한 피해를 제어할 수 있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117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wheat,Sitobion avenae,inter cropping,quantitative food web analysis,밀,보리수염진딧물,간작,양적 먹이그물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