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한국산 lt;TEX gt;$Botryococcus$ lt;/TEX gt; lt;TEX gt;$braunii$ lt;/TEX gt; (Trebouxiophyceae)의 분리 및 계통분류학적 분석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ISSN 1226-999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이승훈,이찬희,조범호,안치용,김한순,오희목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2-01-01
초록 한국 내 전국적으로 5곳의 담수에서 2010년 4월부터 2011년 6월에 걸쳐 담수시료를 채취한 후, 각 담수시료에서 $Botryococcus$ $braunii$ 의 출현을 확인하고 microcapillary-pipetting method를 이용하여 5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B.$ $braunii$ 의 18S rRNA sequencing 후, BLAST search를 통한 분석 결과는 $B.$ $braunii$ 와 가장 높은 상동성을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어 형태적 동정결과와 일치하였다. 진화, 계통분류학적 분석결과, 분리된 5주의 $B.$ $braunii$ 는 단일 계통인 Trebouxiophyceae으로 분류되었다. 18S rRNA sequence의 계통 분류학적 분석에서 $B.$ $braunii$ KNU6는 다른 분리된 $B.$ $braunii$ 와 같은 분류군 내에서 거리의 차이가 있었고, 또한 세포크기, 점액질의 양 등의 형태적 특징도 차이를 보였다. 한국에서 분리된 5주의 $B.$ $braunii$ 는 모두 race A type의 분류군에 포함되며, 탄소수 $C_{23}-C_{33}$ 의 지방산에서 유래된 alkadienes과 alkatrienes를 생산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B.$ $braunii$ 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을 생산하기 위한 최적의 배양조건을 찾는 연구가 필요하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21744989010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Botryococcus braunii,hydrocarbons,isolation,morphological identification,phylogenetic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