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유기염소화합물인 DDT, PCB-153 및 TCDD에 in vitro 노출시킨 명주조개 미크로좀의 CYP및 EROD활성 반응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ISSN 1226-999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전중균,이미희,이지선,이경선,심원준,신영범,이수영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3-01-01
초록 내분비계 장애물질이 해양생물에게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우리나라 연안떼서 보편적으로 분포하는 p,p'-DDT, 2, 3, 7, 8-TCDD및 PCB-153을 대상으로 이들 화합물이 동해안산 명주조개의 미크로좀 중 약물대사 효소계에 미치는 형향을 살펴보았다. 명주조개의 중장선으로 만든 미크로좀에 상기한 화합물을 DMSO에 녹여 일정한 농토가 되도록 첨가하고 p,p'-DDT (0.1, 0.4 및 1.0 mM)는 30분까지 그리고 2, 3, 7, 8-TCDD (0.01, 0.04 및 0.1 ppb) 및 PCB-153 (0.01, 0.04및 0.1ppb)은 7시간까지 in vitro로 배양하면서 CYP 함량과 EROD 활성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용제인 DMSO만을 첨가한 미크로좀으로 sham구를 설정하였다. DDT와 배양한 경우, 0.4 및 1.0mM 배양구의 CYP농도는 노출 전에 비해 10분 후에 각각 115%와 117%로 높아졌고, EROD활성도 120%로 증가하였다. TCDD와 배양한 경우, CYP농도는 노출 전에 비해 9시간 후에 최대(103 sim;110%)가 되었고, BROD활성도 2시간 후에 최대(121 sim;139%)가 되었다. PCB-153와 배양한 경우, 0.01,0.04 및 0.10 ppb 배양구는 CYP농도가 9시간 후에 각각 107%, 112%및 112%로 최대가 되었고, EROD활성도 각각 129%,140% 및 135%로 최대가 되었다. 이것으로 세 화합물은 모두 중장선의 미크로좀에서 CYP와 ERDD수준을 높이는 유도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031192169398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lam,Coelo antiquata,cytrochrome P450,EROD,DDT,TCDD,PCB-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