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광양만 및 섬진강 하구에서의 프탈레이트 화합물의 분포 특성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ISSN 1226-999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김민선,이동호,심원준,오재룡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4-01-01
초록 광양만과 섬진강 하구에서 내분비계장애물질의 일종인 프탈레이트 화합물의 분포 특성을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연구하였다. Di-butyl phthalate (DBP)와 di-2-ethylhexyl phthalate(DBHP)를 비롯한 9종의 프탈레이트 및 adipate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했다. DBP와 DEHP가 가장 높은 빈도와 농도로 검출되었으며, 다른 화합물은 거의 검출되지 않았거나 검출한계 이하였다 광양만 표층퇴적물에서 DBP와 DEHP의 평균 농도는 각각 33.8 ng g $^{-1}$ 와 67.4 ng g $^{-1}$ 이었다. 섬진강 하구에서는 표층수에서 DBP가 62.7 sim;333.8 ng L $^{-1}$ 농도 범위로 검출되었으며, DEHP는 25.6 sim;l16.1 ng L $^{-1}$ 범위로 검출되었다. 섬진강 및 하구 표층 퇴적물 시료 중의 DBP의 농도는 9.1 sim;149.3 ng g $^{-1}$ , DEHP는 46.3 sim;156.3 ng g $^{-1}$ 으로 검출되었다. 광양만에서 DBP와 DEHP는 공단 일대와 생활 하수가 배출되는 하천 주변부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광양만 외해로 갈수록 농도가 적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섬진강에서는 안쪽에서 높은 농도를 보이다가 서서히 감소하지만 일부 정점에서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이러한 분포 경향은 하천을 통해 광양만으로 DBP와 DEHP가 유입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041192229287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hthalates,endocrine disruptors,DBP,DE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