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WEI, Li,DUAN, Hong-jie,NIU, Xiu-long,LIU, Wen-xing,DENG, Wei-min |
초록 |
목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β(estrogen receptor β, ERβ)의 발현과 유방암 내분비 치료용 타목시펜(tamoxifen, TAM)에 대한 내약성 사이의 상관성 및 그 메커니즘을 논의하였다. 방법: 지난번 연구에서 구축한 ERα/ERβ가 다양한 수준으로 발현된 인간 유방암 MCF-7 세포주[즉 M/HK 음성 대조 군), M/siα(ERα low /ERβ high ), M/siβ(ERα high /ERβ low ) 세포 등]를 구축한 다음, MTT법, RT-PCR법, Western blotting법 등을 각각 통하여 TAM에 대한 유방암 세포의 내성, 세포 내 약물 내성 관련 유전자 MDR1, TOPOⅡ, LRP와 GST-π의 mRNA 발현 수준, 세포 내 약물 내성 관련 신호 경로 MAPK, PI3K/Akt의 p-ERK, p-Akt 단백질 발현 수준 등을 각각 검사하였다. 결과: 대조군 MCF-7 세포에 비하여, MCF-7 세포 내의 ERβ 과발현은 고농도 TAM(1, 5, 10μmol/L)가 MCF-7 세포의 증식에 대한 억제 작용을 촉진할 수 있었으며[(45.788±1.641)% vs (24.288±1.170)%, (57.899±1.583)% vs (31.499±1.978)%, (59.853±1.648)% vs (38.039±1.482)%; 모두 P ERβ의 과발현은 MCF-7 세포의 약물 내성 유전자 MDR1, TOPOⅡ, LRP의 mRNA 발현 수준을 뚜렷하게 억제할 수 있는 반면(0.431±0.032 vs 0.932±0.083, 0.234±0.008 vs 0.391±0.002, 0.47±0.028 vs 0.586±0.036; 모두 P 결론: ERβ 발현 수준은 유방암 세포 MCF-7의 TAM에 대한 내약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해당 작용 메커니즘은 약물 내성 유전자의 발현 및 PI3K/AKT, MAPK 신호 경로의 활성화와 상관성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