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ome editing technologies and model animal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生命科學 = Chinese bulletin of Life sciences |
ISSN | 1004-0374, |
ISBN |
저자(한글) | JU, Cun-xiang,ZHAO, Jing,GAO, Xiang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고속 대량 서열분석(high throughput sequencing)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유전자 기능에 대한 해명이 포스트 게놈 시대(post genome period)의 연구 중점으로 되었다. 배아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s, ES)와 상동 재조합(Homologous recombination)을 기초로 하는 유전자 표적화 기술(gene targeting)은 생명 과학과 의약 연구 분야에 큰 기여를 했다. 그러나 이 기술은 효율성이 낮고 시간적 소모가 많으며 생물종 제한성이 존재하는 등 단점이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아연-집계 뉴클레아제(Zinc-finger nucleases, ZFNs), TALENs(transcription activator like effector nucleases)및 CRISPR/Cas9 등 새로운 게놈 편집 기술의 발전은 유전자 기능 연구의 진전을 크게 추동하였다. ZFNs와 TALENs는 2개 도메인을 함유하였고, 뉴클레오티드(nucleotide)의 DNA 도메인과 FokI 핵산 내부가수분해효소(endonuclease)에 대한 식별과 결합 과정을 구현이다. 그들 간 구별점은 DNA 식별 도메인이 다르다는 점이다: ZFNs 식별의 기본 단위는 3개 연속적인 염기쌍으로 구성되었고 TALENs 식별의 기본 단위는 단일 염기로 구성되었다. ZFNs 및 TALENs과 서로 다른 CRISPR/Cas9는 상호 보완적인 염기쌍(Complementary base pairing) 메커니즘을 통하여 식별 과정과 DNA 결합 과정을 구현한다. 해당 기술은 그 설계가 간단하므로 각종 생물종 연구 과정에서 널리 응용되고 있다 ES 세포의 표적화 기술이 나타나서부터 지금까지, 연구자들은 이미 이 기술을 사용하여 많은 질병의 관련 모델을 구축하였다. 이런 모델은 유전자 기능, 인류 질병 치료 및 유전자 치료 등 방면의 연구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각 유형 게놈 편집 기술의 원리와 응용 상황을 종합하였다. 또한 생명 과학과 의학 연구 과정에서 모델 동물의 응용 상황도 소개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4832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genome editing,ZFNs,TALENs,CRISPR/Cas,model animal,게놈 편집,ZFNs,TALENs,CRISPR/Cas9,모델 동물 |